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이희진,문경의치,오초칠국의난,유비,유방,척부인,황제, 고황후여씨, 횡포,혜제, 임조칭제,대행,여록,여대,여산,유장,유양,개국공신,주발,진평,유홍, 친모

1 year ago

들어가면서│동아시아를 옆으로 읽는다는 것

1장 문명과 역사의 시작
| 동아시아 연표 |
1. 문명과 국가의 기원
동아시아문명의 기원│고조선의 시작│고대국가의 통치이념과 천손│
상의 멸망과 주의 등장, 그리고 기자조선│주의 건국과 통치이념의 변화
2. 국가의 흥망과 지배이념의 변화
주의 붕괴와 춘추전국시대│진-법가적 통치│한-유가적 통치
3. 한 제국과 주변의 고대국가
문경의 치와 오초칠국의 난│이율배반의 통치, 한 무제│
유교 원리주의자 왕망의 개혁과 실패│광무제의 등장과 후한│
고조선ㆍ부여와 중원제국│삼한의 등장과 가야│삼국의 건국과 국가체제 정비│
고구려와 중원제국

2장 분열과 분쟁의 시대
| 동아시아 연표 |
1. 중국 위·진에서 5호16국
삼국의 분열과 일시적 통일│진의 일시적 통일│5호16국시대의 시작│조와 전연│
전진과 대(북위)│후연과 후진│양과 남연ㆍ북연ㆍ하
2. 중국 북조
북위의 화베이 통일과 개혁│북위의 멸망│동위ㆍ북제│서위ㆍ북주
3. 중국 남조
동진│송ㆍ제│양│후경의 난│진
4. 한국
신라의 팽창과 가야, 그리고 왜│고구려와 위ㆍ전연의 협력과 충돌│
근초고왕과 동맹체의 형성│한국 고대국가들의 불교 도입│
광개토왕의 등장과 정세의 변화│장수왕과 국제관계의 파란│
가야ㆍ백제의 재기와 신라의 세력 정비│고구려의 쇠퇴와 가야의 좌절│
성왕의 등장과 파란│신라의 팽창과 혼란
5. 일본
국제사회에 등장한 왜│야마토 정권과 진구 황후│왜 5왕의 대중국 외교│
야마토 정권의 정비와 씨성제│소가씨의 등장과 쇼토쿠 태자

3장 통일의 시대
| 동아시아 연표 |
1. 중국
수의 통일과 문제의 업적│후계구도의 파란과 양제의 즉위│수의 멸망과 당의 건국│
당 태종 이세민과 그 업적│측천무후의 시대
2. 한국
고구려ㆍ수의 전쟁과 분쟁의 확대│연개소문의 등장과 고구려ㆍ당 관계│
연개소문과 당 태종의 충돌│신라의 위기와 극복│백제의 멸망│고구려의 멸망│
신라와 당의 전쟁│신라 무열왕계의 등장과 골품제│
원효ㆍ의상의 등장과 불교계의 변화
3. 일본
아스카시대의 견수사와 소가씨의 몰락│다이카개신과 덴지 천황│
진신의 난과 덴무의 개혁

4장 고대사회의 혼란과 붕괴
| 동아시아 연표 |
1. 중국
당 현종과 개원의 치│안사의 난│당의 체제 붕괴와 절도사의 성장│
이정기 세력의 등장과 몰락│황소의 난과 당의 몰락
2. 한국
대조영과 발해의 건국│신라ㆍ일본의 분쟁과 발해│발해와 당의 분쟁│
발해 문왕과 천도│신라 중대의 종말│신라 하대의 혼란│장보고의 등장과 의미│
발해의 혼란│발해의 중흥과 멸망│신라의 도당유학생│신라의 멸망
3. 일본
일본의 율령체제 확립│율령체제의 동요│후지와라노 나카마로의 등장과 몰락│
‘신라정토’와 발해ㆍ신라ㆍ일본 관계│간무의 즉위와 헤이안시대의 시작│
헤이안쿄와 헤이조쿄 천도를 둘러싼 갈등│셋쇼 정치

마치면서│동아시아적 세계관과 역사왜곡
찾아보기
접기
출판사 서평
한국사 “왜 그랬을까?”
동아시아史에서 보면 “아하, 그렇구나!”
동아시아史를 보면 한국사가 제대로 보인다
이성무 전 국사편찬위원장 추천
2013 문화체육관광부 우수출판기획상

1. 역사를 옆으로 읽는다는 것
균형 잡힌 시선으로 관계의 본질과 인과의 핵심을 꿰뚫어 체계를 만들다
역사는 실체가 없다. 없는 것이 아니라 누구도 볼 수가 없고, 기술자의 서술에 따라 역사적 사실의 본말이 전도되기도 한다. 역사의 기술뿐만 아니라 역사의 해석 또한 해석자의 위치와 태도에 따라 그 가치가 뒤집히기도 한다.
따라서 역사를 본다는 것은 가장 공정하고 균형 잡힌 시각과 서술을 유지하는 것이다. 동시에 사건 하나하나 혹은 하나의 지역의 역사를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해야 그 인과관계의 당위성이 관계의 망에서 풀릴 수 있다.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1』은 이런 목표로 기획되었다. 특히 전 세계에서 역사 분쟁이 가장 심한 동아시아 지역의 삼국, 한국ㆍ중국ㆍ일본의 미묘한 ‘쟁점’들을 일국사一國史의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전체적인 흐름에서 파악해보자는 의도이다. 그래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동아시아의 고대사를 정확하고 균형 있게 이해하여, 보다 진취적인 역사 인식을 형성하고자 노력했다.

2. 중국은 왜 동북공정을? 일본은 무슨 근거로 독도를?
아는 만큼 보이고, 알아야 이긴다
고구려는 명약관화하게 우리나라의 역사이다. 그리고 발해 역시 마찬가지이지만, 중국은 발해를 중국사에 편입시키고 일본은 중국사와 한국사 양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것이 지금 동아시아 지역의 현실이다. 영토 분쟁 역시 그 근거는 역사에 있으므로, 첨예한 역사 전쟁은 활화산처럼 진행형이다. 발해는 분명 우리 역사이고 독도는 분명 우리 영토이거늘 저들은 어떤 근거로 자국의 역사와 영토라 주장하는가?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