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선사의 사교회통사상, 문광스님, 간산사상, 역학, 말세, 투쟁뇌고,유불선, 금강경, 수극화, 규봉종밀, 유교, 금수운, 종말론, 간방, 해탈뇌고, 황운, 원상, 순환적시간,정역

1 year ago
6

ㆍ추천사 / 혜거(탄허기념박물관장) - 5
ㆍ서언(序言) : 몽견탄허기(夢見呑虛記) - 7

제1장 연구의 연기(緣起) 17

1. 연구의 연기와 연구 목적 - 17
2. 연구사와 연구 방법 - 23

제2장 회통 사상의 형성 : 학통과 법맥 39

1. 출가 전의 학통과 사상 형성 - 39
2. 출가 후의 법맥과 수행 과정 - 48

제3장 회통(會通)의 원리 : 선사상과 화엄 사상 55

1. 회통의 의미와 전통 - 56
2. 선사상(禪思想) - 62
1) 선 중심적 사유와 선사로서의 정체성 - 62
(1) 선승(禪僧)의 면모와 수선(修禪)의 일상 - 62
(2) 선관(禪觀)의 특징과 선수행의 강조 - 68
2) 보조(普照)와 한암(漢巖)의 계승 - 73
(1) 돈오점수(頓悟漸修) 선양과 돈오점수(頓悟頓修) 비판 - 73
(2) 보조종조론(普照宗祖論) 계승과 태고종조론(太古宗祖論) 비판 - 91
3) 사교 회통(四敎會通)의 근본 원리로서의 선(禪) : 성(性)자리 - 94
3. 화엄 사상(華嚴思想) - 103
1) 일승 화엄(一乘思想) - 104
(1) 화엄은 대승(大乘) 아닌 일승(一乘) - 104
(2) 화엄만이 유일한 요의경(了義經) - 111
2) 성기 사상(性起思想) - 116
(1) 『통현론(通玄論)』과 『청량소(淸凉疏)』의 재해석 - 116
(2) 현대 한국 화엄 성기 사상(華嚴性起思想)의 초석 - 129
3) 무애 사상(無碍思想) - 134
4. 선교 회통(禪敎會通)과 향상일로(向上一路) - 145
1) 선교 회통 : 사교입선(捨敎入禪)에서 선체교용(禪體敎用)으로 - 145
2) 향상일로 : 제일구(第一句)와 말후일구(末後一句)의 제시 - 150

제4장 유(儒)·불(佛)·선(仙)·기(基, 기독교)
사교 회통 사상(四敎 會通 思想) 158

1. 역학(易學)과 선(禪)의 통철(洞徹) - 158
1) 『주역(周易)』의 종지에 대한 선해(禪解) - 159
2) 역학의 확장과 선역 회통(禪易會通) - 166
3) 「주자태극도(周子太極圖)와 조동오위도(曹洞五位圖) 비교」 - 172
4) 역학을 통한 서양철학 비판 - 181
2. 유학과 불교의 회석(會釋) - 188
1) 공자(孔子)의 계승 : 호학(好學)과 불세사업(不世事業) - 188
2) 유교의 돈법(頓法)과 대기설법(對機說法) - 192
3) 유교 경전에 대한 유불회석(儒佛會釋) - 201
(1) 『논어(論語)』의 극기(克己)와 문도(聞道) - 201
(2) 『맹자(孟子)』의 성선(性善)과 구방심(求放心) - 209
(3) 『대학(大學)』의 명덕(明德)과 치지(致知) - 217
(4) 『중용(中庸)』의 중(中)과 성(誠) - 221
(5) 『시경(詩經)』의 사무사(思無邪) - 226
(6) 『서경(書經)』의 정일집중(精一執中) - 228
3. 노장과 불교의 융회(融會) - 232
1)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의 선주(選注) - 232
(1) 선주의 중점 : 주석의 선별 - 233
(2) 박서계(朴西溪) 주석의 활용 - 239
(3) 천선(天仙)과 일승(一乘)의 화회(和會) - 243
(4) 「관묘장(觀妙章)」과 삼교융회(三敎融會) - 249
2) 『장자 남화경(莊子 南華經)』의 역해(譯解) - 259
(1) 『장자』와의 인연 - 259
(2) 역해의 특징 : 적극적 주해 - 264
(3) 「내편(內篇)」에 대한 불선통석(佛仙通釋) - 274
가) 「소요유(逍遙遊)」의 무기(無己) - 274
나) 「제물론(齊物論)」의 물화(物化) - 278
다) 「양생주(養生主)」의 연독(緣督) - 281
라) 「인간세(人間世)」의 심재(心齋) - 285
마) 「덕충부(德充符)」의 망형(忘形) - 287
바) 「대종사(大宗師)」의 좌망(坐忘) - 291
사) 「응제왕(應帝王)」의 혼돈(渾沌) - 295
4. 기독교와 불교의 화쟁(和諍) - 299
1) 기독교에 대한 광대한 포용 - 299
2) 학리(學理) 개척과 해석의 새 지평 - 306
3) 선적(禪的) 기독교관과 불기회통(佛基會通) - 310
(1) 성부(聖父, 하나님)와 법신(法身, 佛)의 회통 - 310
(2) 천국은 진리의 대명사 - 320
(3) 예수는 도통(道通)한 각자(覺者) - 323
(4) 예수의 근본 사상 - 326
가) 허심(虛心) - 326
나) 동자(童子) - 333
다) 좁은 문 - 337
(5) 정신(正信)은 무소득(無所得)의 믿음 - 339
4) 자각(自覺)의 종교(宗敎)와 종교의 자각 - 343
5. 사교 회통 사상의 종합적 정리 - 349
1) 유·불·선·기 사교 회통 사상 요약 - 349
2) 사교 회통 사상의 결실 : 역경결사와 교육불사 - 350

제5장 사교 회통의 미래학 : 간산 사상(艮山思想) 362

1. 말세론(末世論) : 삼교(三敎)의 말법시대 해석 - 363
1) 불교의 투쟁뇌고(鬪爭牢固) - 363
2) 유교의 금수운(禽獸運) - 368
3) 기독교의 종말론 - 374
2. 미래학 : 간방(艮方)의 미래상 제시 - 381
1) 세계 변화의 조짐 - 381
2) 미래 예지의 성격 - 384
3) 지진 발생에 대한 예견 - 390
3. 『정역(正易)』의 해석 : 민족적 역학 - 396
1) 김일부(金一夫)와 『정역』에 대한 평가 - 396
탄허 스님은 유·불·선 삼교의 동양의 전통 사상을 하나로 일이관지(一以貫之)했다. 여기에 기독교와 서양 사상까지 겸하여 융회(融會)하고 이어 관통(貫通)하였다. 뿐만 아니라 탄허 스님은 정신보다 물질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동서양의 모든 종교들은 종교의 본질인 ‘자각의 종교’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종교의 자각’에 직면했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인간의 영원한 과제인 심성(心性)의 수행을 선교(禪敎)의 겸수(兼修)라는 방법으로 제시하였으며, 인재양성을 위한 역경불사와 교육사업의 보살행까지 하였다.
탄허 스님은 번역과 해설을 곁들인 방대한 학술저작을 남기기도 했는데, 이는 한국의 근현대 선사들과 비교할 때 가장 이목을 끄는 점이다. 탄허 스님은 조계종 승가 교육의 중심 교재인 치문(緇門)·사집(四集)·사교(四敎)·대교(大敎)의 모든 교재를 현토·완역하였는데, 특히 『화엄경』 전체를 해설한 이통현 장자의 『화엄론』을 함께 완역했다는 것은 유사 이래 전무후무한 일이다.
탄허 스님의 『화엄론』은 유교와 도교의 방대한 동양학 관련 지식을 포함한 주석들이 많아 불교학만의 식견으로는 번역에 어려움이 많은 저술이다.
탄허 스님은 불교의 경전에만 치우치지 않고 유교의 『주역』과 도교의 『노자』·『장자』까지 중요한 주석들을 총동원하여 현토·완역했다. 이는 기존의 강백들과 궤를 달리하는 행보로 번역의 내용만 보더라도 그의 회통지향적 사상 경향을 읽을 수 있다.
[탄허 선사 소개]
탄허 선사(呑虛禪師, 1913~1983)는 한암 선사(漢岩禪師, 1876~1951)의 법을 이은 수제자로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이다. 법명은 택성(宅成), 속명은 김금택(金金澤), 1913년 음력 1월 15일 전북 김제군 만경에서 태어났다. 기호학파의 면암 최익현(崔益鉉) 계통에서 유학을 공부했으며, 노장(老莊) 등 도학(道學)에도 심취했다.10대 후반부터 ‘도(道)란 무엇인가’에 몰두했으나 해답을 얻지 못하다가 당시 대표적 선승인 한암 선사와 3년간의 서신 문답 끝에 드디어 1934년 9월 5일 22세의 나이로 오대산 상원사로 입산, 출가했다.
1956년부터 월정사 조실로서 오대산 수도원과 영은사 수도원을 개설하여 인재 양성에 매진하셨다. 또 54~58세(1966~1970)에는 동국대학교 대학선원 원장을 맡아 학생들에게 불교철학과 참선을 지도하셨다. 이후 『신화엄경합론』(47권)과 『능엄경』, 『대승기신론』, 『금강경』, 『원각경』, 그리고 『서장』 등 사집(四集)과 『육조단경』, 『보조법어』, 『영가집』 등을 우리말로 완역 간행하여 승가 교육과 인재 양성에 크게 이바지하셨다. 또 동양학의 중요한 고전인 『주역선해』, 『노자』, 『장자』 등을 완역 간행하셨는데, 그 공로로 동아일보사 주최 제3회 인촌문화상을 수상하셨으며, 국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83년 6월 5일(음력 4월 24일) 오대산 월정사 방산굴(方山窟)에서 세수 71세, 법랍 49세로 입적하셨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