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선사의 사교 회통사상, 문광스님, 논어, 극기, 문도, 자기망상, 진리, 천리, 자리이타, 문정,공자, 김일부, 정역, 간방, 금수운, 말세론, 삼교, 간산사상, 주천율려도수

1 year ago
9

1) 『주역(周易)』의 종지에 대한 선해(禪解) - 159
2) 역학의 확장과 선역 회통(禪易會通) - 166
3) 「주자태극도(周子太極圖)와 조동오위도(曹洞五位圖) 비교」 - 172
4) 역학을 통한 서양철학 비판 - 181
2. 유학과 불교의 회석(會釋) - 188
1) 공자(孔子)의 계승 : 호학(好學)과 불세사업(不世事業) - 188
2) 유교의 돈법(頓法)과 대기설법(對機說法) - 192
3) 유교 경전에 대한 유불회석(儒佛會釋) - 201
(1) 『논어(論語)』의 극기(克己)와 문도(聞道) - 201
(2) 『맹자(孟子)』의 성선(性善)과 구방심(求放心) - 209
(3) 『대학(大學)』의 명덕(明德)과 치지(致知) - 217
(4) 『중용(中庸)』의 중(中)과 성(誠) - 221
(5) 『시경(詩經)』의 사무사(思無邪) - 226
(6) 『서경(書經)』의 정일집중(精一執中) - 228
3. 노장과 불교의 융회(融會) - 232
1)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의 선주(選注) - 232
(1) 선주의 중점 : 주석의 선별 - 233
(2) 박서계(朴西溪) 주석의 활용 - 239
(3) 천선(天仙)과 일승(一乘)의 화회(和會) - 243
(4) 「관묘장(觀妙章)」과 삼교융회(三敎融會) - 249
2) 『장자 남화경(莊子 南華經)』의 역해(譯解) - 259
(1) 『장자』와의 인연 - 259
(2) 역해의 특징 : 적극적 주해 - 264
(3) 「내편(內篇)」에 대한 불선통석(佛仙通釋) - 274
가) 「소요유(逍遙遊)」의 무기(無己) - 274
나) 「제물론(齊物論)」의 물화(物化) - 278
다) 「양생주(養生主)」의 연독(緣督) - 281
라) 「인간세(人間世)」의 심재(心齋) - 285
마) 「덕충부(德充符)」의 망형(忘形) - 287
바) 「대종사(大宗師)」의 좌망(坐忘) - 291
사) 「응제왕(應帝王)」의 혼돈(渾沌) - 295
4. 기독교와 불교의 화쟁(和諍) - 299
1) 기독교에 대한 광대한 포용 - 299
2) 학리(學理) 개척과 해석의 새 지평 - 306
3) 선적(禪的) 기독교관과 불기회통(佛基會通) - 310
(1) 성부(聖父, 하나님)와 법신(法身, 佛)의 회통 - 310
(2) 천국은 진리의 대명사 - 320
(3) 예수는 도통(道通)한 각자(覺者) - 323
(4) 예수의 근본 사상 - 326
가) 허심(虛心) - 326
나) 동자(童子) - 333
다) 좁은 문 - 337
(5) 정신(正信)은 무소득(無所得)의 믿음 - 339
4) 자각(自覺)의 종교(宗敎)와 종교의 자각 - 343
5. 사교 회통 사상의 종합적 정리 - 349
1) 유·불·선·기 사교 회통 사상 요약 - 349
2) 사교 회통 사상의 결실 : 역경결사와 교육불사 - 350

제5장 사교 회통의 미래학 : 간산 사상(艮山思想) 362

1. 말세론(末世論) : 삼교(三敎)의 말법시대 해석 - 363
1) 불교의 투쟁뇌고(鬪爭牢固) - 363
2) 유교의 금수운(禽獸運) - 368
3) 기독교의 종말론 - 374
2. 미래학 : 간방(艮方)의 미래상 제시 - 381
1) 세계 변화의 조짐 - 381
2) 미래 예지의 성격 - 384
3) 지진 발생에 대한 예견 - 390
3. 『정역(正易)』의 해석 : 민족적 역학 - 396
1) 김일부(金一夫)와 『정역』에 대한 평가 - 396
2) 복희역(伏犧易)·문왕역(文王易)·정역(正易)의 비교 - 400
3) 「일세주천율려도수(一歲周天律呂度數)」의 독자적 해석 - 406
4) 세계 변화의 원인 : 이천칠지(二天七地) - 413
4. 말세의 용심(用心) : 발진귀원(發眞歸源)과 불생허망(不生虛妄) - 422

ㆍ맺음말 : 탄허의 사교 회통 사상 - 427

광활하고 방대한 탄허 사상 연구의 시작점!
『탄허 선사의 사교 회통 사상』

탄허 스님은 유·불·선 삼교의 동양의 전통 사상을 하나로 일이관지(一以貫之)했다. 여기에 기독교와 서양 사상까지 겸하여 융회(融會)하고 이어 관통(貫通)하였다. 뿐만 아니라 탄허 스님은 정신보다 물질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동서양의 모든 종교들은 종교의 본질인 ‘자각의 종교’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종교의 자각’에 직면했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게다가 인간의 영원한 과제인 심성(心性)의 수행을 선교(禪敎)의 겸수(兼修)라는 방법으로 제시하였으며, 인재양성을 위한 역경불사와 교육사업의 보살행까지 하였다.
탄허 스님은 번역과 해설을 곁들인 방대한 학술저작을 남기기도 했는데, 이는 한국의 근현대 선사들과 비교할 때 가장 이목을 끄는 점이다. 탄허 스님은 조계종 승가 교육의 중심 교재인 치문(緇門)·사집(四集)·사교(四敎)·대교(大敎)의 모든 교재를 현토·완역하였는데, 특히 『화엄경』 전체를 해설한 이통현 장자의 『화엄론』을 함께 완역했다는 것은 유사 이래 전무후무한 일이다.
탄허 스님의 『화엄론』은 유교와 도교의 방대한 동양학 관련 지식을 포함한 주석들이 많아 불교학만의 식견으로는 번역에 어려움이 많은 저술이다.
탄허 스님은 불교의 경전에만 치우치지 않고 유교의 『주역』과 도교의 『노자』·『장자』까지 중요한 주석들을 총동원하여 현토·완역했다. 이는 기존의 강백들과 궤를 달리하는 행보로 번역의 내용만 보더라도 그의 회통지향적 사상 경향을 읽을 수 있다.
이렇게 불교 독존에 치우친 기존 승가의 태도를 지양하고 유교와 도교까지 사유범주 안에 널리 통섭했다는 것은 한국불교 사상사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저자는 이런 방대한 탄허의 사교 회통 사상을 도표를 통해 정리 요약해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탄허 스님의 사교 회통 사상의 최종적인 성과는 도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불사와 역경결사로 결실을 맺은 것으로 파악하여 그의 역경의 실상을 분석해 보였다. 탄허 스님이 당대의 일은 하지 않고 천 년을 지속하는 불사를 짓겠다고 천명했던 번역의 ‘원칙’과 주석의 선별, 현토와 직역 위주의 번역의 이유를 살펴보기도 했다.

저자는 이렇게 탄허 사상의 종합적 고찰을 위해 현전하는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저자는 탄허 스님의 80권에 달하는 역·저서들 가운데 탄허의 독자적인 사상이라고 할 만한 주석과 주해들을 추출하여 일차 자료로 삼고, 여기에 탄허 스님의 강의를 담은 테이프, 동영상, CD자료들을 입수하여 필요한 대목들을 문헌화하여 앞으로의 학술 자료로 남을 수 있도록 대거 인용하기도 했다. 여기에 한곳에 결집되지 못한 채 흩어져 있던 탄허 관련 자료들을 취합하고, 현존해 있는 제자들을 직접 만나 당시의 정황과 전수받은 가르침을 수렴하여 연구에 적극 반영하였다. 그렇게 저자는 탄허 스님 사상의 편린들이 담겨 있는 문헌화되지 않았던 자료들을 한 곳에 모아 문헌화하기도 했다.
저자는 이렇게 흩어져 있던 자료들을 모아 탄허 선사의 사상을 세밀하게 분석하며, 탄허 선사의 사교 회통 사상이 한국불교에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가치를 지닌 사상임을 입증하기 위해 집요하게 써나간다.

광범위한 사상체계와 깊이를 갖춘 탄허 선사야말로 한국불교계를 대표하는 고승이라 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탄허의 사상을 연구한 최초의 연구서 『탄허 선사의 사교 회통 사상』이 탄허 사상을 연구하는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탄허 스님의 학술은 근본 종지가 막혀 갈피를 잡지 못하는 학인들에게 막혔던 활로를 활짝 열어 줄 것이다.

[이 책의 구성]
제1장에서는 연구의 연기(緣起)와 연구 목적, 연구 방법 등을 밝힌다.

제2장에서는 탄허의 생애를 ‘회통 사상의 형성’이라는 측면에 집중하여 출가 전의 학통과 출가 후의 법맥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이를 통해 그의 회통 사상이 어떻게 형성되고 완성되어 갔는지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탄허의 회통 사상의 근본 원리를 선사상과 화엄사상을 통해 추출한다. 먼저 ‘회통’의 일반적인 의미와 탄허가 말하는 회통의 기본정신이 어떠한 것인지 살펴본다. 한국불교사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회통 사상의 역사를 간략히 검토하고 그가 영향 받은 원효(元曉), 최치원(崔致遠), 함허(涵虛) 등의 회통론을 고찰했다. 원효의 화쟁 회통의 정신과 최치원의 포함삼교(包含三敎)의 학술은 그의 회통론의 근거가 되었고, 함허의 “천하에 두 도가 없고 성인에게 두 마음이 없다[天下無二道, 聖人無兩心]”는 언명은 그의 회통 사상의 상징이었음을 확인한다.

제4장에서는 불교를 중심으로 역학, 유학, 노장학, 기독교를 회통한 사교 회통 사상의 실질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탄허의 삼교의 말세론에 대한 해석과 앞으로 다가올 지구의 미래에 대한 예견인 미래학, 그리고 한국의 민족적 역학인 김일부의 『정역』에 대한 그의 독자적 해석을 분석한다.

[탄허 선사 소개]
탄허 선사(呑虛禪師, 1913~1983)는 한암 선사(漢岩禪師, 1876~1951)의 법을 이은 수제자로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이다. 법명은 택성(宅成), 속명은 김금택(金金澤), 1913년 음력 1월 15일 전북 김제군 만경에서 태어났다. 기호학파의 면암 최익현(崔益鉉) 계통에서 유학을 공부했으며, 노장(老莊) 등 도학(道學)에도 심취했다.10대 후반부터 ‘도(道)란 무엇인가’에 몰두했으나 해답을 얻지 못하다가 당시 대표적 선승인 한암 선사와 3년간의 서신 문답 끝에 드디어 1934년 9월 5일 22세의 나이로 오대산 상원사로 입산, 출가했다.
1956년부터 월정사 조실로서 오대산 수도원과 영은사 수도원을 개설하여 인재 양성에 매진하셨다. 또 54~58세(1966~1970)에는 동국대학교 대학선원 원장을 맡아 학생들에게 불교철학과 참선을 지도하셨다. 이후 『신화엄경합론』(47권)과 『능엄경』, 『대승기신론』, 『금강경』, 『원각경』, 그리고 『서장』 등 사집(四集)과 『육조단경』, 『보조법어』, 『영가집』 등을 우리말로 완역 간행하여 승가 교육과 인재 양성에 크게 이바지하셨다. 또 동양학의 중요한 고전인 『주역선해』, 『노자』, 『장자』 등을 완역 간행하셨는데, 그 공로로 동아일보사 주최 제3회 인촌문화상을 수상하셨으며, 국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83년 6월 5일(음력 4월 24일) 오대산 월정사 방산굴(方山窟)에서 세수 71세, 법랍 49세로 입적하셨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