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 조재형, 오뒷세우스, 변모, 예수, 데니스맥도날드, 베드로후서, 시내산,평행구조, 성찬, 플라톤, 디오니소스, 다신론, 에우리디피데스, 박카이, 요한

2 years ago
1

추천사
·기준서 박사 (전 그리스도대학교 총장) 16
·유근희 박사 (전 아시안제자회(NAPAD) 실행목사) 18
·조태연 교수 (호서대학교 신약학 교수) 20
·나요섭 박사 (전 영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22
·김덕기 교수 (대전신학대학교 신약학 주임교수) 24
·나인선 교수 (목원대학교 예배학 교수) 26
저자 서문 28

제1부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의 관계 33
I. 들어가는 말 34
II.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에 대한 연구방법과 동향 36
A. 연구방법 36
B. 간략한 국내 연구동향 36
C. 간략한 해외 연구동향 37
III. 그리스-로마 배경 40
A. 알렉산더 대왕과 그리스 세계관의 전파 41
1. 알렉산더 대왕의 지중해연안 제패와 세계 제국의 성립 41
2. 헬라어의 보급과 그리스 문학의 전파 『(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등) 42
B. 그리스-로마 사회에서의 유대교 45
C. 그리스-로마 세계 속에서의 초기 그리스도교 47
D. 그리스-로마 배경 하에서의 성서읽기의 예들 50
E. 소결론 53
IV. 그리스-로마 종교 개론 56
A. 그리스 종교의 특징 56
B. 로마 종교의 특징 61
C. 그리스-로마 종교의 성립 64
D. 연구방법과 범위, 자료 70
E. 소결론 74
V. 호메로스의 신들(gods)-『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를 중심으로 77
A. 호메로스의 신들(gods)의 특징 79
B. 호메로스와 그리스-로마 세계 85
C. 호메로스와 신약성서 87
D. 소결론 90
VI. 호메로스의 신들과 그리스-로마 희생제의 92
A. 뛰시아(Thysia) 희생제의에 대한 정의 94
B.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반영된 뛰시아 희생제의의 특징 97
C. 신약성서에서의 뛰시아 희생제의 102
D. 소결론 105
VII. 헤시오도스와 영웅숭배 107
A. 헤시오도스가 전하는 그리스인의 창세기 110
B. 영웅숭배(Hero Cult) 114
C. 신약성서와 영웅숭배 118
D. 소결론 121
VIII. 로마의 미뜨라 제의와 로마황제숭배 124
A. 미뜨라 제의 127
B. 황제 숭배 131
C. 소결론 136
IX. 밀의종교1: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피즘(Orphism) 139
A. 디오니소스 제의의 기원과 특징 140
B. 오피즘의 기원과 특징 145
C.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피즘과 그리스도교 151
D. 소결론 157
X. 밀의종교2: 엘레우시스와 위대한 어머니 신(The Great Mother) 159
A. 엘레우시스 밀의의 기원과 특징 161
B. 위대한 어머니 신: 키벨레 밀의의 기원과 특징 166
C. 엘레우시스와 키벨레 제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170
D. 소결론 172
XI. 이시스(Isis)와 이집트 밀의종교들 176
A. 이집트 밀의종교의 특징 179
B. 황금 당나귀에 묘사된 이시스 제의의 특징 182
C. 이시스 제의와 오시리스 제의와 그리스도교 185
D. 소결론 188
XII. 그리스의 철학적인 종교 191
A. 철학적인 종교의 등장 배경 192
B. 다신론과 철학적인 단일신론 195
C.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197
D. 그리스-로마의 철학적인 종교와 태양숭배 199
E. 소결론 202
XIII.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204
A. 플라톤의 영혼과 종말론 206
B. 플라톤의 우주와 신 209
C.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종교 211
D. 소결론 213
제2부 그리스-로마 종교의 관점에서 신약성서 연구 217
XIV. 디오니소스의 제의를 통해서 본 요한복음서의 성찬(요 6:51-59) 219
A. 요한복음 6장과 성찬 221
B. 디오니소스의 특징 227
C. 디오니소스 제의와 요한복음 6장의 성찬 230
D. 소결론 287
XVII. 요한복음서의 예수의 수난과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의 디오니소스의 수난에 대한 미메시스 비평 290
A.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에 묘사된 디오니소스 293
B.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를 통해서 본 요한복음서의 예수 299
C. 공관복음서와 비교한 요한복음 예수 수난의 독특성 304
D.『 박카이』를 통해서 본 예수의 수난 310
E. 소결론 318
XVIII. 나가는 말 322

제3부 부록 335
XIX. 1세기 팔레스틴에 영향을 주었던 고대 로마법의 역사와 내용 336
A. 로마법의 개론적인 역사와 내용 337
1. 왕정시대 337
2. 공화정 시대 338
3. 제정(원수정) 시대 340
B. 1-2세기 팔레스틴의 로마법 343
C. 로마의 혼인법과 신약성서의 일부일처 혼인에 대한 예 346
D. 소결론 349
XX. 참고문헌 350
접어보기
만든 이 코멘트
저자, 역자, 편집자를 위한 공간입니다.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을 남겨주세요.
코멘트 쓰기
접수된 글은 확인을 거쳐 이 곳에 게재됩니다.
독자 분들의 리뷰는 리뷰 쓰기를, 책에 대한 문의는 1:1 문의를 이용해 주세요.
추천평
조재형 박사의『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는 신약성서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묵직하고 유익한 연구서이다. 지금까지 신약 학계는 신약성서를 연구하고 해석하는데 유대적 종교와 문화의 관점에서만 조명하여 왔다. 물론 구약성서와 그의 배경이 되는 유대교의 종교와 문화는 신약성서를 연구할 때, 일차적이고 중요한 자료가 되는 것은 맞다. 그럼에도 아쉬운 것은 신약성서가 기록될 당시의 시대적, 역사적 상황을 간과했다는 점이다. 그 당시 유대인과 유대교는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화 속에 있었으며, 신약성서는 한결같이 헬라화된 저자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신약성서 사본들은 히브리어 사본은 없고, 헬라어 사본들뿐이다. 이는 신약성서가 얼마나 많이 헬라의 종교와 문화의 영향을 받았는지를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1세기 당시 그리스 철학자들의 탁월한 사상, 뛰어난 저술가들의 문학작품, 헤아릴 수없이 많은 그리스 신들의 이야기는 헬라 문화권에 넓게 읽혔으며, 따라서 신약성서 저자들에게도 직, 간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또한 로마제국의 정치적 힘은 유대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 황제숭배와 다양한 종교 사상이 신약성서에 어떤 영향을 분명히 주었을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그리스-로마의 종교와 문화는 신약성서 연구에 있어 제외시킬 수 없는 필수적인 자료이다. 조재형 박사는 미 서부의 클레어몬트 대학원 대학교에서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화 연구에 독보적인 석학인 맥도날드 교수와 그레고리 라일리 교수 밑에서 신약신학을 연구할 수 있는 행운을 갖게 되었다. 그후로 신약성서 안에 깊숙이 침전되어 있는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화에 대하여 각별한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해 왔다.“ 그리스-로마 종교의 빛 안에서 요한복음의 성만찬”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쓰면서 더욱 심화된 연구를 거듭하였다. 이번에 내놓은『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는 기독교가 탄생하기 전후 1세기경의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화에 대하여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그의 책은, 앞으로 한국 신약학계의 신약성서 연구방법론의 외연을 넓히고 내용을 확장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조재형 박사는 신학을 학문으로만 연구하지 않고, 깊은 영성의 밑바닥에서 길어 올린 신앙의 소리를 함께 담아내는 지성과 영성이 겸비된 신약학 학자이다. 2015년에 찾아든 혈액암과의 힘겨운 투병과정을 거치면서 하나님과의 깊은 인격적 만남을 갖게 되었고, 그 후로 영성이 더욱 깊고 풍요로운 학자가 되었다. 그는 이 귀한 책을 내면서도, 한국 신약학계와 교회가 신약성서를 참신하고 창의적으로 해석하는 데에 작은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소장 신학자로서 겸손한 자세를 견지한다. 앞으로 그의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화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신약성서를 읽고 해석함에 있어서 편향되지 않도록 나침판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기준서 박사 (전 그리스도대학교 총장)

오랫동안 기다렸던 조재형 박사의 작품이 드디어 출간되어 이 큰 기쁨을 이 지면을 통해서 독자들과 함께 나눈다. 이 책은 그리스도교 경전, 특히 신약성서를 연구하며 심도 있는 이해를 원하는 목회자들, 신학도들, 일반 평신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는 필독서이다. 포스트모던이즘(post-modernism) 문화권에서 급부상하는 다종교, 다문화, 다인종 (multi-religious, multi-cultural, multi-racial) 사회에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그리스도의 신실한 증인된 삶을 살아가는 길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심하는 것이 현대 그리스도인들의 진솔한 심정이 아닌가? 조재형 박사의“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가 그 해답을 찾아 가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화권에서 살았다. 그토록 강인한 영향력 하에 있던 초대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가 신약성서 속에서 고수하려 했던 신앙의 정수가 무엇인지를 알려면 그 시대의“ 사회, 종교, 문화, 정치, 역사적 상황”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수적인데,“ 그리스-로마적 성서 읽기는 그것을 향한 첫 걸음이다”고 저자는 확신한다. 그리스-로마 종교를 집약한 호메로스(Homer)의“ 일리아스” 와“ 오뒷세이아”는 서양문학의 근간을 이루며, 지중해 지역을 비롯한 유럽 종교의 정경과 같은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거기에 등장하는 신들과 영웅들은 그리스-로마 종교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신약성서 기자들도 바로 이러한 호메로스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세계 속에서 생활하며 저술활동을 했다. 신약성서 저자들(특히 마가, 누가, 사도행전)은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모방해서 그리스도교적 서사시를 완성하기를 희망했을 것이다”는 저자의 지론에 동감한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나오는 신들과 영웅들을 그리스도교적인 주인공으로“ 재창조하여” 제시함으로서 쉽고 설득력 있게 나사렛 예수를 세상의 그리스도(구세주)로 소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근희 박사 (전 아시안제자회(NAPAD) 실행목사)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