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조기교육, 경쟁, 발전, 진로, 희망, 늦깍이천재들의비밀, 사악한세계는어떻게상겨나는가, 더니은, 미군, IQ, 플린, 인지능력, 평균점수,검사문항, 레이븐검사,소련,데이비드엡스타인
조기 교육에 대한 맹신은 몇몇 신화적인 이야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태어난 헝가리인 라슬로 폴가르는 대학 시절 위인들의 전기를 탐독했고, 〈제대로 조기 교육을 시키기만 하면 자녀들을 천재로 만들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는 자신의 교육 철학을 이해해 줄 약혼자를 구했고, 세 딸 수전, 소피아, 유디트를 낳은 뒤 곧바로 실험에 돌입했다. 세 자매는 오전 7시까지 탁구 강습, 10시 정각에 아침 식사를 마치고, 낮 동안 내내 체스를 두었다. 아이들의 실력이 일취월장하자 아버지는 〈코치를 구하고, 체스 잡지에서 기보 20만 장을 오려서 맞춤 카드 목록을 만들었다.〉 결과는 체스 역사에 남아 있다. 1988년, 수전(19살), 소피아(14살), 유디트(12살) 세 자매는 여성 체스 올림피아드의 헝가리 대표 팀 네 명 중 세 명으로 나서, 앞서 12연패를 기록 중이던 소련 대표 팀을 물리치고 우승했다. 폴가르 자매는 〈국가의 보물〉이 되었다. 라슬로의 실험은 너무나 성공적이었기에, 1990년대 초 그는 〈자신의 조기 전문화 방식을 1천 명의 아이들에게 적용한다면, 인류가 암과 에이즈 같은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대중매체에 회자되는 통념과는 달리, 조기 교육에 관한 과학적 연구는 타이거 우즈나 폴가르 자매의 경우가 예외이고, 현실은 정반대임을 가리킨다. 권위 있는 음악 심리학자 존 슬로보다는 영국의 한 음악 기숙학교 학생들을 조사했고, 놀라운 결과를 발표했다. 학교가 비범하다고 분류한 학생들이 〈악기를 더 늦게 시작했고, 어릴 때 집에 악기가 없었을 확률이 더 높았다〉. 또한 음악 레슨도 드물게 받았고, 입학 전까지 악기 연습을 한 시간도 적었고, 그것도 〈훨씬 적었다〉고 밝히고 있다.
왜 이런 결과가 나타났을까? 2017년 교육경제학자 그렉 던컨과 심리학자 드루 베일리 연구진은 학업 성취도를 높여 준다는 67가지 아동 조기 교육 프로그램들을 검토했다. 연구진은 그런 프로그램들에 학업상의 일시적인 이점이 빠르게 약해지고, 심지어 완전히 사라지는 〈페이드아웃fadeout〉 효과가 만연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조기 교육 프로그램이 절차 반복을 통해 금방 습득할 수 있는 〈닫힌〉 기능들을 가르치며, 어떤 시점에 이르면 모든 아이들이 자동적으로 그런 기능을 습득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비유하자면, 〈조기 교육은 아이에게 좀 더 일찍 걸음마를 가르치는 것과 같다. 걸음마를 일찍 떼는 것이 인생에 중요하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
나의 길을 찾는 〈샘플링 기간〉
엡스타인은 인생의 성공은 빠른 출발이 아니라, 오히려 〈샘플링 기간〉(자신의 적성과 관심을 폭넓게 탐사하는 기간)의 유무로 좌우된다고 설명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엘리트 운동선수들은 0~15세 동안 훗날 자신이 활약할 그 종목에 쏟는 시간이 준엘리트 선수들에 비해 적었다(본문 18면 그래프 참조). 그 대신 그들은 페더러가 그랬듯이, 체계가 엉성한 환경에서 다양한 운동을 경험하는 〈샘플링 기간〉을 거쳤다.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경제학자 오퍼 맬러머드는 최적의 〈전문화 시점〉을 찾기 위해 영국의 대학교 졸업생 수천 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놀랍게도 재학 기간 동안 충분한 전공 탐색 제공받은 스코틀랜드 졸업생들과 달리, 고등학교 때 이미 진로를 결정한 영국과 웨일스의 졸업자들은 졸업 후에 전혀 다른 분야로 전직하는 사례가 많았다. 〈학생들은 자신에게 적합한지 파악하기도 전에 특정한 좁은 길로 향했고, 너무 일찍 전공을 정함으로써 많은 실수를 저지르고 있었다.〉 엡스타인에 따르면, 조기 전문화는 열여섯 살 때 고등학교 이성과 혼인할지 말지를 선택하라고 강요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 당시에는 아주 좋은 생각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돌아보면 그다지 좋은 생각이 아니다.〉
오늘날 대중의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는 반 고흐 역시 자신의 화풍을 완성하기 전까지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다. 미술상, 교사, 서점 점원, 유망한 목사, 순회 전도사를 거쳤고, 그림을 그리겠다고 결심한 뒤로는 드로잉, 수채화, 튜브로 직접 물감을 짜서 바르기 등 다양한 기법을 실험했다. 그의 전 인생이 화가라는 직업, 최고의 화풍을 완성하기 위한 샘플링 기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엡스타인은 〈무언가를 배우는 것보다는 자기 자신에 관해 배우는 것〉이 교육의 더 중요한 목표라고 강조한다.
바람직한 어려움
엡스타인은 이 책에서 장기적인 성공을 원한다면 단기적인 성취에 현혹되지 말 것을 주문한다. 우리는 흔히 단기간에 성적을 높여 주는 교사를 실력 있는 교사로 여기곤 있다. 정말 그럴까? 엡스타인은 인지심리학자 네이트 코넬의 〈바람직한 어려움desirable difficulty〉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단기적으로는 더 힘들고 느리고 좌절감을 주는 학습이 장기적으로는 더 좋은 결과를 낳는다는 용어이다.
미국 공군사관학교에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가지 연구가 이루어졌다(본문 134~135면). 미적분 I을 가르치는 교수들 중에는 학생들의 시험 성적이 잘 나오도록 가르치는 이들도 있고, 반면에 시험 성적이 낮게 나오는 교수들도 있었다. 그러나 미적분 I을 이수하고, 뒤이어 심화된 고급 수학과 공학 강좌에서 높은 성적을 받은 반 학생들은 의의로 미적분 I 성적이 낮은 반 학생들이었다. 〈자기 반의 학생들이 시험을 가장 잘 볼 수 있도록 가르친 미적분 I 교수들은 장기적으로 보면 학생들에게 그리 좋은 교수가 아니었다.〉 연구진은 단기적으로는 허우적거리게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득을 제공하는 교수들이 학생들의 〈심층 학습〉을 촉진했다고 진단했다. 개념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기보다 끊임없이 단서를 제공하면서 문제 풀이에 특화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당장의 수행성과를 높일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학생들의 발전에 방해가 된다. 설령 틀린 답을 내놓는다고 해도 학습자 스스로 답을 제시하려고 애쓰는 것이 나중의 학습을 강화한다는 얘기다.
엡스타인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에 비유한다. 제자들에게 답을 알려 주기보다 답을 생각해 내라고 촉구했던 소크라테스의 학습법은, 학습자에게 〈훗날의 혜택을 위해 현재의 수행성과를 의도적으로 희생할 것을 요구하는 방식이었다〉.
전문가를 뛰어넘는 제너럴리스트
조기 전문화의 가장 큰 문제는 사람들을 우물 안 개구리를 만든다는 데 있다. 전문가는 〈경험을 통한 학습은 완벽하게 할 수 있지만, 경험한 세계 그 이상을 보진 못한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세상은 골프나 체스처럼 규칙 안에서 움직이는 〈친절한kind〉 세계가 아니다. 오히려 도전 과제가 명확하지 않고 엄정한 규칙도 없는 〈사악한wicked〉 세계이다. 체스에서 승률 높은 수를 두는 것과, 내년도 우크라이나의 환율 변동을 예측하는 것은 질적으로 다른 문제이다. 전자는 오랜 경험을 통해 습득할 수 있지만, 후자는 경험만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곧 다양한 사례를 엮고, 새로운 개념들을 연관 지어서 종합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앨프 빙엄의 이노센티브 회사는 난감한 문제에 직면한 〈의뢰자〉로부터 돈을 받고 〈도전 과제〉를 사이트에 올린다. 각 기관의 전문가들도 두 손 든 문제들이다. 그중 하나가 엑손발데즈호 사고로 발생한 원유를 바지선에 실은 뒤 처리하는 문제였다. 초콜릿 무스처럼 끈적거리는 원유를 꺼낼 방법이 마땅치 않았다. 그 문제를 푼 사람은 어느 화학자로, 의외로 그는 전혀 화학적인 방법으로 풀지 않았다. 그는 슬러시를 떠올렸고, 예전 친구 집에서 콘크리트 계단 공사를 했던 기억을 떠올렸다. 바짝 마른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진동기〉로 죽처럼 만들었던 경험이었다. 〈유레카!〉 총 해결책은 딱 3페이지였다. 「산업 내에 있는 사람들이 쉽게 푸는 것이라면, 그 산업 내에서 이미 해결되었을 겁니다. 우리는 자신이 속한 업계에서 수집한 모든 정보를 갖고 세상을 보려는 경향이 있고, 다른 길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기가 쉽지 않아요.」(본문 251면)
다트머스 경영대 교수 앨바 테일러와 노르웨이 경영대학원 교수 헨리크 그레베는 만화가들의 경력을 추적한 뒤, 1971년 이후 234개 출판사에서 나온 만화책 수천 권의 상업적 성공 정도를 분석했다. 그들은 창작자들의 차이를 낳은 것은 경력이 아니라, 〈경험의 폭〉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창작자가 폭넓게 (다양한) 장르들을 경험할수록 평균적으로 더 나은 작품을 내놓고 혁신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았다.〉(본문 295~296면)
엡스타인은 우리 시대 필요한 인재는 전문가가 아니라 제너럴리스트라고 확신한다. 〈전문가들이 다른 분야에 담을 쌓고 있는 동안, 컴퓨터는 한때 그렇게 한 분야만 깊이 파고드는 사람만이 갖추었을 기술들을 점점 더 습득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어제의 나와 경쟁하라
〈늦다〉는 말은 흔히 성공과는 거리가 먼 부정적인 의미로 여겨져 왔다. 시험 삼아 이런저런 것을 시도하거나 지체한다면, 일찌감치 시작한 사람들을 결코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이 우리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엡스타인은 이 책에서 〈늦음〉의 의미를 뒤집는다. 늦는다는 건 단단해지고 있다는 뜻이고, 경험의 폭을 넓히는 중이라는 뜻이다.
엡스타인은 비능률을 함양하라고 요청한다. 실패하라. 시험에 떨어지는 것이야말로 무언가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것저것 시도했다가 그만두는 행동이 때론 가장 성공한 경력으로 이어진다. 세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발명가들은 외길 전문가가 아니라, 여러 분야를 고루 경험한 늦깎이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인생의 전환기를 겪는 한국 독자들에게도 의미를 지닌다. 직업 군인으로 살다가 뒤늦게 공부를 시작하려는 이들, 조기 퇴직하고 새 직업을 고민하는 이들, 일찍 진로를 정해서 잘사는 듯 보이는 또래들을 보면서 〈나는 이미 늦었구나〉 생각하는 이들, 아직도 인생의 갈피를 못 잡는 모두에게 이 책은 희망을 준다. 그런 삶이야말로 올바른 것이라고 말이다. 엡스타인은 결론에서 이 책의 핵심을 강조한다. 〈더 젊은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오늘의 자신을 어제의 자신과 비교하라. 사람은 저마다 발전 속도가 다르다. 그러니 누군가를 보면서 자신이 뒤처져 있다는 느낌을 받지 말기를.
-
15:43
Tactical Advisor
2 hours agoBEST and WORST Guns Of 2024
4.93K3 -
9:14
Dermatologist Dr. Dustin Portela
2 hours ago $0.30 earnedProducts a Dermatologist Actually Uses
5.09K3 -
20:54
inspirePlay
3 hours ago $1.32 earned🏌️♀️ Extreme Knockout Golf Challenge Part 2 – Do the GIRLS beat the BOYS? 🏌️
15.3K2 -
24:09
Squaring The Circle, A Randall Carlson Podcast
3 hours ago#033 At The Crossroads - Squaring the Circle: A Randall Carlson Podcast
9.68K3 -
50:17
BIG NEM
4 days agoBrian Herzog: From Zero to 150 MILLION Views in a Year 🚀
6.64K1 -
2:48:35
FreshandFit
16 hours agoHenny Chris VIOLATES 5 Girls 🤣
184K142 -
6:33:57
AdmiralSmoothrod
17 hours agoescape from tarkov - the best and brightest - party games later?
135K12 -
59:15
RealitySurvival
18 hours agoMore in coming Chaos? War With China? Trumo Tower Bombing & Bourbon Street Massacre
3.53K -
4:34
SeasonofMist
1 month agoVOYAGER - Brightstar [Official Music Video]
2.83K1 -
10:00
Ethical Preparedness
4 hours ago $1.25 earnedWhat Everybody is Missing About the Recent Terror Attacks in the USA
3.44K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