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가짜행복권하는 사회,김태형,쾌락주의행복론,행복산업,심리학자,프롬,엉터리,금욕주의,아무것도기대하지않는자에게복이있나니,고통탈출, 욕망을버려야,불교,철학자,반덴보슈, 분노, 무생물
책소개
소확행, 마음챙김, 힐링, 워라밸, 욜로……
당신이 느끼는 그 행복, 진짜 ‘행복’입니까?
엉터리 행복론을 전파하는 주류 심리학과
물질주의 행복론에 경도된 한국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평
각자도생의 행복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진짜’ 행복론을 제시하다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풍요중독사회』 등으로 한국 사회의 기저에 있는 심리를 분석하여 사회현상과 문제에 대해 꾸준히 발언해온 전투적 사회심리학자 김태형이 ‘자존감’에 이어 이번에는 ‘행복’에 주목했다.
물질주의 행복론은 소비를 조장하는 자본주의 사회와 행복산업으로 인해 다수가 믿게 된 거짓 행복론일 뿐, 이론적 근거로 뒷받침되는 행복론이 아니다. 하지만 ‘쾌락주의 행복론’은 다르다. 행복을 쾌락의 증가와 고통의 회피만으로 보는 쾌락주의 행복론은 오늘날 심리학이 내세우는 가장 대표적인 행복론이다. 쾌락주의 행복론은 개인의 쾌락을 행복이라고 본다는 점에서 물질주의 행복론과 맞닿아 있고, 자본주의 사회와도 궁합이 잘 맞는다. 그렇기에 자본주의 사회에서 쾌락주의 행복론은 ‘마음챙김’, ‘치유’, ‘힐링’ 등의 키워드로 포장되어 믿을 만한 행복론으로 대중에게 공급되고 있다.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에서는 쾌락주의 행복론 또한 물질주의 행복론과 마찬가지로 진정한 행복에 이를 수 없는 가짜 행복론이라고 말한다. 나아가 행복은 왜 쾌락이 아닌지, 주류 심리학이 ‘개인’의 심리에만 집중하는 것은 어떤 부작용을 낳는지, 오늘날 심리학이 퍼뜨리는 가짜 행복론이 어떻게 행복 개념을 왜곡시키는지를 낱낱이 파헤친다.
“심리학이 행복 연구에 뛰어든 것은 어떤 결과를 초래했을까? 안타깝지만 심리학은 긍정적인 기여보다는 부정적인 역할을 더 많이 했다. 심리학은 일련의 긍정적인 기여에도 불구하고 행복의 개념을 왜곡하고, 행복에 관한 잘못된 이해를 확산시켰으며, 그 결과 사람들을 행복에서 더 멀어지게 만들었다.” _ 99쪽
주류 심리학이 가진 대표적인 오류와 편향은 바로 집요할 정도로 ‘개인의 심리’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점이다. 사회나 역사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채 개인의 심리에만 집중하는 주류 심리학은 개인 차원의 행복만을 논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개인주의적 행복론’은 주류 심리학이 내세우는 행복론의 가장 큰 특징이자 한계다.
개인주의적 행복론은 개인의 행불행을 개인의 몫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개인주의적 행복론이 불행한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행복해지는 방법은 자신의 주관적 심리를 조작해 긍정적인 사고와 감정을 늘리라는 것, 즉 ‘주관적 행복론’으로 귀결된다. 주관적 행복론의 맹점은 부정적인 정서 경험을 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처한 개인에게 부정적 경험을 긍정적으로 왜곡해 받아들이게 만든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는 신입 직원에게 상사가 관심과 애정이 있어서 그러는 것이라고 좋게 받아들이라는 조언을 하는 격이다.
주류 심리학의 행복론은 환경, 즉 우리가 사는 이 사회를 개인이 어찌할 수 없는 상수로 놓기 때문에 개인에게 행불행의 책임을 떠넘긴다. 마음챙김, 힐링, 치유 등을 통해 자신의 마음의 평안만을 추구하라고 권유하는 것이다. 하지만 개개인이 자신의 안위만을 추구하는 것으로는 결국 한계가 있다. 행복과 불행을 결정짓는 가장 큰 변수는 환경,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가 행복할 수 있는 사회인가 아닌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울타리를 벗어나 사회를 들여다보면서 사회를 비판하기 시작한 소수의 심리학자가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심리학자는 개인만을 들여다보며 개인적 행복만을 강조하고 있다. 심리학이 인민의 아편이라는 오명을 벗어던지고 진정한 과학적 학문 그리고 사회에 필요한 학문으로 거듭나려면 ‘사회’를 연구 대상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심리학 이론을 혁신해야 할 것이다.” _ 159쪽
저자는 오늘날 심리학이 현대 사회에서 종교를 대신해 ‘인민의 아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일갈한다. 심리학이 기득권의 이익을 옹호하고, 민중이 부당한 현실에 순응하도록 유도하며, 사회개혁으로 향하는 길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책의 2부에 담긴 주류 심리학에 대한 저자 특유의 예리하고 통렬한 비평은 이 책의 백미다. 그만큼 저자는 오늘날 사람들이 가짜 행복이라는 허상을 좇아 불행의 늪에 빠지게 된 사태의 책임이 무엇보다 주류 심리학에 있다고 본다. 저자 자신 또한 심리학자로서 주류 심리학이 엉터리 행복론에서 벗어나 오늘날 사람들에게 필요한 진짜 행복론을 제공해줄 수 있는 학문으로 환골탈태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모두가 함께 행복한 사회를 꿈꾸며
지금 여기, 우리에게 필요한 진짜 행복론
자본주의 사회와 주류 심리학이 퍼뜨린 가짜 행복론이 오늘날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를 만들었다. 그렇다면 우리를 현혹하는 엉터리 행복론에서 벗어나 진짜 행복, 즉 참다운 행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저자는 책의 3, 4부에서 오늘날 한국 사회에 필요한 진짜 행복론을 다시 쓴다. 가짜 행복론으로 왜곡된 행복 개념을 다시 바로잡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 행복을 가능케 만드는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세심히 살핀다.
행복을 좌우하는 조건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저자가 가장 강조하는 것은 ‘사회’다. 주류 심리학과 행복산업에 의해 사회(환경)의 중요성은 왜곡·축소되어왔지만, 사실은 사회가 행복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요인이라 말한다.
“공기가 나쁜가 좋은가를 좌우하는 것이 사회라면, 누가 병에 먼저 걸리고 누가 병에 걸리지 않을 것인가를 좌우하는 것이 개인이다. 심리학은 공기가 나쁜가 좋은가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오직 누가 병에 걸리고 누가 병에 걸리지 않는가에만 관심이 있다. 즉 심리학은 행복 그 자체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행복의 개인차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다.” _ 216쪽
사회를 떠나 살아갈 수 있는 개인은 없다. 우리는 사회 안에서 수많은 사건과 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그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사회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굴러가는가는 사람들의 행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책에서는 사회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불평등 문제를 들고 있다. 불평등이 심각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지 못한다. 인간관계에도 상품관계의 윤리가 스며들어 계산적으로 관계를 맺게 되고, 심지어 지배-종속, 학대-피학대 관계 등이 일반화되며, 사람을 차별하고 무시하는 풍조가 극심해진다. 이러한 사회에서 개개인이 행복하기는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가 진정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 불평등 문제를 개선하고, 사람들이 생존과 존중의 측면에서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보장해주는 사회로 개혁하는 것이 필요하다.
“행복은 사회가 사람들에게 행복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객관적 조건을 마련해주고 사람들이 그 객관적 조건을 이용할 수 있는 주관적 조건을 갖췄을 때 실현된다.” _ 225쪽
개인의 행복만을 챙기는 각자도생의 사회에서는 행복한 누군가가 있다고 해도, 그것은 결국 타인의 고통 위에서 누리는 행복일 뿐이다. 이는 타인을 신경 쓰지 않은 채 나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행위로 성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진정한 행복이라 할 수 없다. 참다운 행복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누리는 사회적 행복이다.
공동체의 복원과 사회에 공헌하는 심리학을 위해 노동운동가로서 그리고 심리학자로서 활발한 활동을 해온 저자 김태형은 개인의 행복에서 벗어나 타인의 행복, 공동체의 행복 그리고 사회 전체의 행복을 생각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진짜 행복’이라고 강변한다. 모두가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이상사회로 개혁하는 것이야말로 지금 여기, 우리에게 필요한 진짜 행복론이라는 것이다.
오랫동안 현장에서, 거리에서 민중을 위한 학문과 활동을 해온 전투적 심리학자답게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에서 저자가 전하는 메시지는 거침없고 생생하다. 그의 글은 매끈해 보이는 우리의 풍요로운 일상이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를 가감 없이 들추어낸다. 사실은 행복이라고 느끼는 것들이 착각일 뿐이라는 것을, 찰나의 쾌락과 개인의 안위에 안주하는 상태가 누군가의 불행 위에서 성립된다는 진실을 상기시킨다.
진실을 마주하는 것은 때론 불편하다. 하지만 불편함을 딛고 진실을 마주할 때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진짜 행복으로 내딛는 한 걸음을 시작하며
1부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
1장 불행한 지구에 행복 열풍이 불고 있다
누구나 행복을 바란다
행복하지 않아서 행복을 갈망하다
행복으로 돈을 버는 자들은 누구인가
행복 경쟁 사회
2장 돈을 좇을수록 더 불행해지는 한국 사회
각자도생의 사회일수록 돈을 더 믿는다
풍요의 역설과 물질주의 행복론
더 잘난 사람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는 경험
2부 심리학은 어떻게 행복을 왜곡하는가
3장 쾌락주의 행복론은 왜 엉터리 행복론인가
우리가 행복이라 여겼던 것들
행복은 왜 쾌감이 아닌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과 오늘날의 심리학
4장 심리학이 건네는 행복에 관한 거짓말
행복의 개인차만 연구하는 심리학
각자에게 주어진 행복의 범위가 있다?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거짓말
‘소확행’이라는 달콤한 거짓말
가짜 처방전 남발하는 심리학
심리학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을까?
3부 진짜 행복 만드는 사회
5장 우리가 진짜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행복을 좌우하는 몇 가지 조건
공동체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것
모두가 행복해야 나도 행복하다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법
6장 사회가 행복을 좌우한다
불평등이 행복을 파괴한다
사회적 행복과 개인적 행복
4부 참다운 행복을 찾아서
7장 지금 여기, 우리에게 필요한 진짜 행복론
삶의 목적이 실현된 상태
사람답게 살아간다는 것
자유, 가장 강력한 행복의 원천
창조적인 활동이 가져다주는 것
에필로그 참다운 행복을 위한 제안
미주
참고문헌
-
17:14
DeVory Darkins
6 hours ago $5.61 earnedStephen A. Smith drops BOMB on Dems as Rosie LOSES IT over Trump
3.16K22 -
27:33
The Brett Cooper Show
3 days ago $3.95 earnedI Spoke With People Close To Justin Bieber (Part 2) | Episode 27
6.68K7 -
1:36:27
Iggy Azalea
2 hours ago $3.03 earnedgiving away 20k in game credit on my casino!
11.3K -
2:14:23
TheSaltyCracker
5 hours agoArt of The Troll ReeEEEStream 05-04-25
113K256 -
6:50:59
SpartakusLIVE
7 hours agoDuos w/ Woes || Verdansk GRIND that NEVER stops
53.4K1 -
2:51:57
vivafrei
13 hours agoEp. 262: Shiloh is COINTELPRO 2.0? The "Woke Right"? Trump's Ukraine, Iran Deal! Canada Stuff & MORE
114K138 -
1:52:05
IsaiahLCarter
12 hours ago $1.99 earnedAPOSTATE RADIO #013: Congestion Pricing is For The Dogs (feat. Charlie Panoff, Danny Perlstein)
19.9K1 -
1:52:17
KINGKILLJ0Y
3 hours agoWhen it's DARK....it's time for RANK! //🔴LIVE
9.27K1 -
2:06:49
Tundra Tactical
5 hours ago $6.02 earnedStar Wars Blaster Rankings and Other Galactic Gun News On The Galaxies Okayest Gun Live Stream
29.5K2 -
2:09:29
Nerdrotic
7 hours ago $9.87 earnedAncient Precision Stone Vases Discoveries | Forbidden Frontier 100
51.3K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