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오리지널스,애덤그랜트,미국 중앙정보국,서유럽,카멘메디나,완성된정보보고서,내부자용위키피디아,인텔리피디아,팩스기,인텔링크,연방수사국, 실무조직, 정보부부국장,선배,승진
목차
서문_
1장 창조적 파괴: 순리를 거스르는 위험한 일
현상(現狀)에 의문을 품기 | 성공의 두 얼굴 | 적합한 자질 | 위험은 주식포트폴리오처럼 관리하라
2장 눈먼 열정에서 벗어나기: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알아보는 비결
창의성이라는 외줄 타기 | 왕자를 찾을 때까지 개구리에게 입맞춤하기 | 현상의 포로와 편협한 선호도 | 경험은 양날의 칼 | 직관의 폐해 : 스티브 잡스의 오판 | 열정이라는 함정 | 아이디어 선별에 필요한 시력 교정 렌즈
3장 위험을 무릅쓰다: 진언(進言)하기
권력은 지위로부터 나온다 | 단점을 내세우기: 사릭 효과 | 낯설면 거부감을 느낀다 | 몸이 떠나기에 앞서 마음이 떠난다면 | 여성으로서 이중 소수자로서 목소리 내기 | 가지 않은 길
4장 서두르면 바보: 시기포착, 전략적인 지연, 그리고 선발주자의 불리함
또 다른 다빈치코드 | 미루기의 효과 |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 개척자와 정착자 | 창의성의 생애주기: 참신한 천재와 노련한 거장
5장 최적의 균형점과 트로이의 목마: 연대를 결성하고 유지하기
사소한 차이를 버리지 못하는 아집 | 온건한 과격파와 트로이 목마 | 친적(親敵)보다 적(敵)이 낫다 | 익숙할수록 호감이 간다 | 서부개척사 | 갈등을 넘어 연대와 협력의 길로
6장 이유 있는 반항: 형제자매, 부모, 정신적 스승이 독창성을 길러준다
타고난 반항아 | 적소(適所) 찾기`: 형제간 경쟁하지 않고 겨루기 | 처음에는 엄격
했지만 점점 지쳐가는 부모 | 설명의 위력 | 명사에 대한 호감: 명사가 동사보다나은 이유 | 부모는 최적의 롤모델이 아닌 이유
7장 집단사고를 재고하라: 강력문화, 컬트, 악마의 변호인이라는 낭설
청사진에서 탈피하기 | 성장통: 헌신형 조직문화가 품은 양날의 칼 | 색다른 생각을 장려하는 문화 | 나와 친분이 있는 악마 | 탄광 속 카나리아를 발견하기 | 원칙들이 서로 충돌할 때 | 진실의 순간 | 세상을 바꿀 힘이 있는 인물들
8장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기: 불안감, 무관심, 엇갈리는 감정, 분노 다스리기
부정적인 사고가 발휘하는 긍정적인 힘 | 믿음을 버리지 마라 | 외부의 힘을 빌려 고무시키다 | 소수의 힘 | 절체절명의 위기 | 중단 없는 전진 | 불난 집에 부채질하기
효과적인 행동 지침
감사의 말
참고문헌
접기
추천사
말콤 글래드웰 ('아웃라이어', '티핑포인트' 저)
마치 저녁식사 모임에서 애덤 그랜트가 바로 맞은편에 앉아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상가로 손꼽는 그의 혜안과 세계를 바라보는 놀랍도록 새로운 방식에 대해 감탄하면서 말이다.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COO)
나를 사로잡은 가장 중요한 책으로 손꼽고 싶다. 당신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사는 방식까지 바꿀 것이다. 나아가 당신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역이 되게 할지도 모른다.
피터 틸 (페이팔 공동 창립자)
기존의 것을 다 배워야 새로운 것을 시도할 특권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곤 했다. 애덤 그랜트는 이런 내 생각을 여지없이 무너뜨린다. 그가 우리를 이끌어주고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다행인가!
세스 고딘 ('린치핀' '이카루스 이야기' 저)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당신을 놀라게 할 필독서다. 애덤 그랜트는 창의적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변화를 가져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람들의 생각을 완전히 바꿔놓는다. 아끼는 사람들과 함께 읽어라.
아리아나 허핑턴 (허핑턴포스트 공동 창립자)
당신의 독특한 재능을 인식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세상의 통념을 거부하고 그 재능을 실현할 용기를 주는 책. 새로운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주장하는 비결과 우리를 주저하게 만드는 끈질긴 통념을 타파하고 자신의 삶과 세상까지도 바꿀 수 있는 비결을 알려준다.
J. J. 에이브럼스 (스타워즈 감독)
경이롭고 흥미진진한 이 책은 혼란의 시대를 새롭게 조명한다. 성공에 대한 통념을 타파하고, 오랫동안 당연시해온 믿음에 이의를 제기하고, 근본적인 변화를 이끈 주역들이 지닌 공통점을 발굴함으로써 우리가 처한 상황을 완전히 뒤바꿀 잠재력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창업자)
수백 가지 사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고 가장 성공적이었던 점이 바로 사람들에게 세상을 달리 보도록 설득하는 일이었다. 다른 이들을 설득하는 비결과 사람들이 창의성을 기르고 변화를 이끌어내도록 돕는 비결을 제시한다.
접기
책 속으로
수년 전 심리학자들은 무엇을 성취하는 데는 두 가지 길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순응(conformity)하는 길과 독창성(originality)을 발휘하는 길이다. 순응이란 이미 잘 닦여진 길로 앞선 무리를 따라가며 현상을 유지함을 의미한다. 독창성이란 인적이 드문 길을 선택하여 시류를 거스르지만, 참신한 아이디어나 가치를 추구해 결국 더 나은 상황을 만듦을 의미한다. _p.22
웹브라우저로 파이어폭스나 크롬을 사용한 직원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사파리를 사용한 사람들보다 재직 기간이 15퍼센트 더 길었다. 이 조사 결과가 우연이라고 생각한 하우스먼은 직원들의 결근 자료를 가지고 똑같은 분석을 했다. 그런데 마찬가지 결과가 나왔다. 파이어폭스나 크롬 이용자가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사파리 이용자보다 결근하는 확률이 19퍼센트 낮았다. (…) 그 직원들을 차별화한 요인은 바로 그들이 브라우저를 획득한 방법이었다. PC를 구입하고 나서 처음으로 컴퓨터를 켜면 윈도우에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이미 내장되어 있다. 맥을 사용한다면 사파리가 내장되어 있다. 고객 상담 직원들 가운데 3분의 2가 내장된 브라우저를 사용했는데, 그들은 더 나은 브라우저가 있지 않을까 의문조차 품지 않았다. 파이어폭스나 크롬을 사용하려면 사람들은 수완을 좀 부려서 다른 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해야 한다. 내장된 기능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주도력을 조금 발휘해서 더 나은 선택지를 찾는 것이다. 바로 그 주도력, 아무리 미미하다고 해도 그 주도력이 작업 수행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_p.24~26
세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불만스러운 현재 상태에 대해 호기심이 생길 경우, 대부분의 그런 현재 상태에는 사회적 근원(social origins)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규칙과 체제는 사람이 만든다. 그리고 그런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바꾸고 싶다는 용기를 얻게 된다. “미국에서 여성이 참정권을 얻기 전, 여성의 지위가 낮은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라고 역사학자 진 베이커는 말한다. 참정권 운동이 탄력을 얻자“그런 관습, 종교적 가르침, 법이 사실은 사람이 만든 것이고, 따라서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여성들이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다”라고 베이커는 말한다. _p.30~31
폴라로이드 창립자인 에드윈 랜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 분야에서 창시자가 되려면, 자신이 창시자가 되려는 그 분야를 제외한 다른 모든 분야에서는 확고한 사고방식을 지닌 감정적으로 사회적으로 안정된 사람이어야 한다.” _p.48
최근 프레데릭 고다르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해외에서 보낸 시간과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를 내놓았다. 이 연구팀은 패션 산업을 중심으로 21번 시즌에 걸쳐 수백 개의 패션 업체들이 발표한 컬렉션의 창의성을 바이어와 패션 비평가들이 어떻게 평가했는지를 추적했다. (…) 첫째, 그들이 해외에서 거주한 시간은 중요하지 않았다. 해외에서 근무한 시간이 중요했다. 즉 외국에서 디자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는지 여부가 새 컬렉션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지표가 되었다. 가장 창의적인 컬렉션은 두세 나라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디렉터들로부터 나왔다. 둘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이 근무한 외국의 문화가 자신의 모국 문화와 다를수록 해외의 근무 경험이 창의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인은 한국이나 일본에서 근무한 경우와 비교해볼 때, 그들이 캐나다에서 근무하면서 얻은 것은 별로 없었다. 그러나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여러 나라에서 근무했다는 사실만으
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가장 중요한 세 번째 요소는 심층적인 경험, 즉 해외 근무를 얼마나 오래 했는지 여부였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들에게 단기 근무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디렉터들이 외국 문화에서 얻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소화해서, 그것을 자신이 본래 지니고 있던 시각과 통합할 만한 충분한 시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디렉터들이 35년 동안 해외에서 근무한 경우 가장 높은 창의성을 보여주었다. _p.95~96
-
UPCOMING
BEK TV
22 hours agoTrent Loos in the Morning 4/29/2025
57 -
5:52
MichaelMotamedi
10 hours ago $1.30 earnedEating The Most Elusive Lobster In The World
7.59K15 -
11:03
Melonie Mac
13 hours agoClair Obscure Expedition 33 Has Saved Gaming
16.3K16 -
7:39
The Shannon Joy Show
14 hours ago🇺🇸 America's Breaking Point: Are We Ready to Toss the Board? 🎯
8.52K14 -
10:00
Adam Does Movies
18 hours ago $2.17 earnedCEO Claims Netflix Saved Hollywood. Um, WHAT?!?! - Rant
20K4 -
1:00:43
Trumpet Daily
19 hours ago $4.60 earnedThat Big, Beautiful Wall Around the Vatican - Trumpet Daily | Apr. 28, 2025
10.5K16 -
12:40
Degenerate Jay
12 hours ago $0.42 earnedThe Perfect RoboCop Versus Terminator Game Needs To Be Made!
12.3K2 -
8:17
VSOGunChannel
15 hours ago $0.59 earnedYou Were Put on a Government Watch List || DECLASSIFIED
11.4K7 -
35:14
Steph & Kayls
17 hours ago $0.67 earnedSpicing Things Up: How To Navigate Adding A Third To The Bedroom | Ep. 4
15.3K5 -
28:59
Film Threat
12 hours agoTHUNDERBOLTS* EARLY REACTIONS | Film Threat After Dark
21.5K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