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민의 한양읽기 궁궐 하,창덕궁,예궐,돈화문로,비원,고종,광무연간,동궐,원유,동물원,식물원,자쿠라, 종로3가,경복궁,조선왕조,법궁,종묘,산줄기,돈화문,응봉,북한산,유네스코세계유산

1 year ago
2

목차
제1장 경복궁

1 경복궁 예궐
광화문앞길
광화문

2 외전
조정
근정전

3 내전
편전 사정전
대전 강녕전
중궁전 교태전
경회루

4 동궁
자선당, 비현각, 계조당

5 궐내각사
수정전
궐내각사

6 생활기거공간
자경전
그 외의 영역들

7 후원
향원정, 건청궁, 집옥재
신무문과 후원

제2장 창덕궁

1 창덕궁 예궐
돈화문로
돈화문

2 외전
금천교
인정전

3 궐내각사
관청 궁궐
인정전 서편
인정전 동편

4 내전
편전 선정전
대전 희정당
중궁전 대조전
성정각

5 동궁과 그 너머
중희당
낙선재 일곽

6 후원
주합루 일원
의두합과 애련정
연경당
존덕정
옥류천

제3장 창경궁

1 돌아온 창경궁
창경궁 약사
창경궁 바로 보기

2 창경궁 답사
외전
내전
생활기거공간
후원
궐내각사
동궁

제4장 경희궁

1 경희궁을 위한 애도
서궐 경희궁
경희궁의 최후

2 경희궁을 찾아서
답사는 시간여행
‘복원’된 곳들
자취 추적

제5장 경운궁

1 대한제국의 궁궐
‘경운궁’의 소생
근대사의 일번지, 정동
원구단, 황궁우

2 경운궁 돌아보기
사라진 문, 옮겨진 문
외전
내전
서양식 건물들

맺음말

참고 문헌 / 주석
도판 출처 / 고서화, 고지도
접기
출판사 서평
하권에서는 서울의 다섯 궁궐을 둘러본다. 다섯 궁궐을 다 돌아보려면 바쁘겠다 싶지만, 저자의 발걸음은 성급하지 않다. 궁궐로 드는 길 먼 곳에서, 궁궐을 둘러싼 산수 그리고 옛 사람들의 궁궐에 드는 마음가짐을 챙기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경복궁에 들어서려면 광화문 네거리에서 저 멀리 보이는 백악과 보현봉을 눈에 담고 광화문앞길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 먼저이고, 창덕궁에 입궐하기 전에는 정문 돈화문의 월대 아래 서서 옷깃을 여며야 한다.
궁궐에 들어서도 지금 남은 겉모습만 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실제로 궁궐이 나라의 중심으로 우뚝 서서 정치와 의식의 현장이었던 때, 궁궐이 살아 있던 때를 가능한 한 되살려보고, 임금을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의 생활공간이었던 때의 자취를 찾아본다. 그런 시선으로 궁궐을 보노라면 궁궐의 더 깊은 속을 들여다볼 수 있다. 궁궐 곳곳에 남아 있는 작은 석물, 담장 등의 디테일을 챙겨서 보는 애정 어린 시선, 디테일의 맛은 덤이다.

경복궁, 조선왕조의 영원한 법궁
조선왕조의 첫 궁궐인 경복궁은 궁궐들 가운데서도 가장 격식을 갖춘 궁궐이다. 저자의 발걸음도 역시 광화문, 영제교, 흥례문, 근정문 근정전으로 이어지는 일직선의 축을 따른다. 근정전에 이르면 그 좌우에 있는 정에 새겨진 팔괘에 따라 남쪽을 바라보고, 근정전 안 용상에 앉은 임금이 가져야 했을 마음가짐을 떠올린다. 근정전의 북쪽으로는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따라 사정전, 강녕전, 교태전이 이어진다. 각 건물의 이름에 담긴 무거운 뜻을 생각하고, 교태전 뒤에서는 아름다운 화계와 굴뚝은 물론 구석진 곳에 숨어 있는 석물과 우물에도 눈을 돌린다. 경회루에서는 임금과 신하의 만남을 뜻하는 이름의 높은 뜻을 읽는 것은 물론, 그 건축에도 천지만물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반영되어 있음을 상기한다. 완전히 파괴되었다가 일부만 복원된 동궁, 터만 남아 있는 궐내각사,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의 관저가 들어섰고 그것이 지금의 청와대로 이어지고 있는 후원. 이곳들은 지금도 일제에 의한 궁궐의 왜곡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공간들이다.

임금이 가장 오래 머문 궁궐, 창덕궁
창덕궁은 조선 전기의 이궁이자, 조선 후기의 법궁으로서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임금이 임어했던 궁궐이다. 그런 만큼 이야깃거리도 많다. 600년째 본래 모습과 자리를 지키고 있는 금천교를 건너 창덕궁의 법전인 인정전까지 둘러보았다면, 이제는 그 동서에 있는(혹은 있었던) 궐내각사들을 만날 차례다. 인정전의 서쪽으로는 불완전하나마 궐내각사들이 복원되어 있지만, 동쪽에 있었던 대청, 승정원 등은 지금도 빈터로만 남아 있다. 하지만 새로 지은 건물에서라도, 빈터에서라도 궁궐이 최고의 관청이었던 시절을 떠올릴 수 있다면 의미가 있다. 후원에 들어서도 저자의 매서운 시선은 이어진다. 주합루. 일견 아름다운 건축과 경치에 눈을 빼앗기기 쉬운 곳이다. 하지만 임금 자리에 오르자마자 화려한 건물을 지어 그 2층에 자신의 어진을 두고 신하들에게 이를 모시게 한 정조의 속내는 무엇이었을까. 영화당 앞을 가로막은 담은 언제나 없어져 춘당대 본래의 모습을 회복하게 될까. 후원의 멋진 경치를 마음 편하게만 즐길 수는 없는 이유들이다.

창덕궁과 함께 동궐을 이룬 창경궁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유원지 ‘창경원’이었던 창경궁은 지금도 많은 부분이 회복되지 못한 채 남아 있다. 창경궁의 법전 명정전은 광해군 대에 지어져 본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서쪽의 내전 일대의 건물들은 주변의 부속 건물들을 잃긴 하였으나 기품이 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창경궁 대부분의 영역은 이제는 숲과 잔디밭이 되어 있어 도저히 본래 모습을 떠올리기 힘든 지경이 되었다. 하지만 책에서 보여주는 〈동궐도〉를 비롯한 자료들의 도움을 받으면 왕실 가족들은 물론 궁녀들을 비롯한 수많은 이들의 생활공간이었던 창경궁 북쪽 권역, 주자소와 같은 인쇄 출판을 맡은 관서를 비롯하여 적지 않은 궐내각사들이 위치해 있던 창경궁 남쪽 권역의 모습이 손에 잡힐 듯 보인다.

서궐 경희궁, 그 흔적을 찾아서
경희궁은 조선 후기 동궐에 대비되는 서궐, 양궐체제의 한 축이었다. 하지만 조선 말기 경복궁이 중건된 후 궁궐로서의 기능을 잃었고, 일제강점기에는 그 터가 학교의 부지가 되어 한때 거의 사라져버렸었다. 저자는 오늘날 불완전하게나마 복원된 외전 영역을 돌아보는 데 그치지 않는다. 동국대학교에 정각원이란 이름으로 남아 있는 경희궁의 법전 숭정전은 물론, 같은 대학교 박물관에 남아 있는 용상 닫집의 칠조룡까지 돌아보는 등 곳곳에 남아 있는 그 흔적과 자료들을 통해 당당한 궁궐이었던 경희궁의 모습을 되살린다.

대한제국의 궁궐, 황제의 궁궐. 경운궁
경운궁은 대한제국의 궁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이름조차도 고종이 황제 자리를 강제로 내놓고 머물던 시절의 이름인 ‘덕수궁’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본래 궁궐 영역은 여기저기가 잘려나가고 건물도 극히 일부만 남았다. 따라서 답사의 범위 또한 지금의 영역만이 아닌, 주변의 정동까지 포함하게 된다. 정동을 돌며 근대사의 현장과 잘려나간 궁역들을 돌아보면 대한문을 지나게 된다. 하지만 안에 들어서도 남아 있는 것은 1904년 화재 이후 중층지붕에서 단층지붕이 되어버린 중화전, 사방에 둘렀던 행랑을 모두 잃은 조정, 엉뚱한 자리에 가 있는 광명문 등 사라지다 남은 궁궐의 자취뿐이다. 석조전을 비롯한 서양식 건물들은 위화감을 더한다. 하지만 여기서도 노력한다면 대한제국이라는 시대를 더듬어볼 수 있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