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다산 그에게로가는길, 정조, 정약용, 천주교박해, 종두법, 형조, 반대파, 상소, 불온사상, 곡산부사, 마재, 여유당, 운길산, 수종사, 수원, 화성, 다산 초당, 강진, 사의재
‘위인’ 정약용이 아닌 ‘인간’ 정약용을 찾아서…
한국 사상가들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우리 인물 답사기’의 첫 책!
동녘 ‘우리 인물 답사기’ 시리즈의 첫 책. 이 시리즈는 철학 소설 형식으로 한국 사상가들의 삶과 사상을 들려준다. ‘달중과 미영’이라는 한국학을 공부하는 대학원생이 여러 인물들을 만나면서 그들과 대화를 하며 한국 사상가들을 인상적으로 스케치한다. 이 시리즈는 그동안 ‘위인’으로 바라보았던 사상가들의 얼굴을 한 겹 벗겨내고, 한 ‘인간’으로서의 모습을 그려내는 데 주력한다.
첫 번째로 찾아가는 인물은 18세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한국 최고의 학자이자 개혁가라고 평가받는 다산 정약용이다. 정약용에 관한 책은 많지만, 평소 어렵고 두꺼운 인문서를 통해 정약용을 알아가는 데 아쉬움이 컸던 독자들에게 소설적 이야기로 풀어나가는 이 책은 흥미롭게 정약용의 삶에 접근하는 지름길이 되어준다.
먼저 등장하는 고교생 서연은 엄마를 아홉 살에 잃었다. 우연히 정약용도 아홉 살에 어머니를 여읜 사실을 알고 서연은 묘한 동질감을 느낀다. 어느 날 건축 일을 하는 아빠가 춘천 현장에서 한자로 ‘열수’라고 새겨진 모형 배를 줍게 되고, ‘열수’가 잘 알려지지 않은 정약용의 호라는 것을 알고 있던 서연은 그 배가 정약용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빠와 함께 남양주로 정약용 답사를 떠나기로 한 서연과 아빠는 정약용의 고향 ‘마재’에서 뜻밖의 귀인을 만나 함께 동행하게 되는데……
마재, 여유당, 운길산 수종사, 수원 화성, 다산 초당, 강진 사의재…
정약용의 흔적이 묻어 있는 공간에서 그의 삶을 철학 소설로 풀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1. 어디에서나 한강이 보인다
2. 생각한 대로, 그대 생각한 대로
3. 설혹 너무 태양 가까이 날아
4. 언제나 마음은
저자 : 김영우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났다. 한국 사상사를 정리하겠다는 포부를 안고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철학을 공부했다. 《정약용의 역학 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가 되었으며, 여러 편의 다산 관련 논문이 있다.
“정약용도 실학자였잖아?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대개 한강을 중심으로 포진해 있었어. 남양주, 양평, 여주, 광주……. 모두 한강 줄기라서 일종의 실학 벨트를 이루고 있었던 거지. 지금이야 인터넷 덕분에 격차가 덜하지만 당시에는 정보의 수용 면에서 서울과 지방의 차이가 아주 심했어. 서원이 지방의 교육을 상당 부분 담당하고는 있었지만 아무래도 새로운 문물이 지방까지 파급되는 건 무척 더뎠겠지.”
부드러운 표정으로 권달중 오빠가 말했다.
“아, 그럼 서울과 가까워야 새로운 정보들을 놓치지 않을 수 있겠네요?”
“그렇지. 그러니 정약용으로서는 서울로의 접근성이 좋은 이 마재가 여러 가지로 마음에 맞았겠지. 물론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어서, 또 고향이어서, 뭐 이런 이유들은 당연할 거고.”
--- p. 12~23
“주로 다산 정약용이라고 불리지만 그게 다는 아니야. 호가 더 있어. ‘사암(俟菴)’도 그중 하나고.”
“아, ‘사암’도 있었구나. 그런데 정약용 선생님은 자신의 호를 다산이라고 잘 안 쓰셨나 봐요? 자기 묘지명을 쓰면서 ‘다산 정약용’이라고 안 하고 ‘사암 정약용’이라고 한 걸 보니.”
달중 오빠 눈에 얼핏 웃음이 어리는 것 같았다.
“서연이가 예리한걸? 정약용 선생의 호로 ‘다산’이 제일 유명하긴 하지만 여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어.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 가 있다가 다산초당으로 옮기면서 그 무렵부터 사용한 호가 ‘다산’이잖아? 다산초당으로 옮겨간 것이 1808년이었는데 그때 다산은 이미 40대 후반이었거든. 거기 10년쯤 머문 후에는 해배되어 마재로 돌아왔으니까. 실제로 다산초당에 머문 건 10년밖에 안 되는 거지. 그러니까 ‘다산’이라는 호가 정약용 선생의 대표적인 호가 되는 건 문제가 있다, 이렇게 보는 사람들도 있어.”
--- p. 27~28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했으니 생활이 궁핍했을 거야. 정약용만 해배되어 오면 집안이 펼 거라고 생각했던 가족들의 기대도 있었을 텐데 말이지. 그래서 해배 이후 정약용은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쏟아. 정약용이 인삼 농사 지었던 거 아니? 나중에는 그 인삼밭 덕분에 집안 형편이 좀 나아졌지.”
정약용이 인삼 농사를 지었다고? 처음 듣는 이야기였다.
“나머지는 보통의 집안 어른들과 같지 않았을까? 집안을 다스리고 자녀들을 교육하며 때로는 유람 길에도 나서고. 아, 서연이가 춘천에서 왔댔지? 정약용은 나중에 춘천에도 갔었어.”
그건 알고 있어요, 마음속으로 중얼거리는데 슬며시 웃음이 떠올랐다.
--- p. 37
“이건 나중 일인데, 정약용이 종두법을 알았대.”
달중 오빠가 말했다.
“종두법이라면 지석영의 그 종두법 말입니까? 천연두를 사라지게 했다는?”
아빠도 궁금한가 보다.
“예, 아버님. 지석영이 종두법을 최초로 실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석영은 1880년경에야 일본을 통해 종두법을 배우고요, 사실은 그보다 앞서 정약용의 《마과회통》에 종두법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어요. 홍역에 대한 책 한쪽에 천연두에 대한 내용을 붙여 둔 거죠.
“1880년이면 정약용이 죽은 후잖아요? 그럼 정약용이 종두법을 먼저 알았다는 거네요?”
--- p. 89~90
접어보기
출판사 리뷰
다산에 관한 책은 많지만, 그가 살았거나 머물렀던 장소를 철저히 답사하고 그 장소에서 그의 삶을 들려주는 책은 드물다. 이 책의 장점은 한 인물을 알아가는 데 나오는 복잡해 보이는 실학사상이나 조선시대 당쟁과 같이 어렵고 딱딱하게만 다가오는 이야기들을 이야기 형식으로 들려주고 있다는 점이다. 정약용의 고향인 마재, 정약용의 생가인 여유당, 과거 급제 후 자축연을 열 정도로 자주 찾았던 수종사, 정조의 명을 받고 설계에 참여한 수원 화성, 유배 생활 중 저술 활동을 활발히 했던 다산 초당 등 현장을 답사하며 정약용을 탐구한다. 이 길에는 송화 가루가 퍼지고, 동백 꽃잎이 흩날리기도 하며 주고받는 정약용을 둘러싼 이야기들이 서정적인 답사길 풍경을 연출한다.
특히 정약용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천주학(서학)이 조선에 자생적으로 생겨나 정약용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정조와 정약용이 꿈꾼 화성의 모습이 어땠는지, 《목민심서》, 《마과회통》, 《흠흠신서》 등 수많은 정약용의 저술과 관련한 이야기들, 치열한 당쟁에 휘말려 18년간 귀양 생활을 했고, 형제들도 참수당하거나 유배지에서 숨을 거둔 가족사 등을 흥미롭고 생생한 어조로 풀어내 내용을 풍성하게 한 점도 이 책의 강점이다. 무엇보다 따분할 수 있는 한국 사상을 청소년들이나 정약용을 잘 몰랐던 성인 독자층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풀어주면서, 우리가 몰랐던 숨은 이야기도 들려준다는 점도 이 책의 미덕이다.
다산, 사암, 열수… 정약용의 진짜 호는 뭘까?
지석영보다 정약용이 먼저 종두법을 알았다고?
우리가 잘 몰랐던 정약용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
조선시대 ‘실학 벨트’가 있었다는 이야기는 뭘까? 조선시대 실학자들은 남양주, 양평, 여주, 광주 등 왜 한강을 따라 모여 있었을까? 정약용의 호가 ‘다산’이 아니라 ‘사암’이라고? 왜 서용보는 정약용을 일생 동안 괴롭혔을까? 정약용은 상업을 중시한 실학자 연암 박지원과는 다르게 직접 인삼농사를 지을 정도로 농업을 중시했을까? 서울대학교 농대가 수원에 있었던 것이 정약용과 관계가 있다는 이야기는 어디에서 나왔을까? 정약용이 지석영에 앞서 종두법을 먼저 이야기했다는 것은 사실일까? 정약용이 의학서를 썼다고? 율곡의 십만양병설이 거짓이라고?
이렇게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답이 이 책의 이야기 속에서 펼쳐진다. 우리는 다산 정약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 책은 이 질문에서 시작해, 그의 삶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이야기를 추적한다. 다산의 이야기를 단순히 그리는 것이 아니라, 왜 다산이 ‘다산’이 아닌 ‘열수’, 아니 그냥 ‘정약용’으로 불려야 하는지, 서학이 이 땅에 어떻게 들어오게 되었고 정약용은 과연 천주교에 대해 배교했는지, 왜 정약용과 박지원 같은 조선 지식인들을 부분이 아닌 조선 시대 ‘전체의 문제’로 바라보아야 하는지, 정약용의 삶을 다각도도 들여다본다.
철학적 깊이와 탄탄한 문학적 향기 속에서 펼쳐지는 다산 이야기
정약용을 전공한 철학 박사와 문학을 전공한 공저자와의 공동 집필!
이 책은 부부가 함께 공동 집필한 작품이라는 점이 이채롭다. 저자 김영우 교수는 정약용을 전공하고 그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쓴 다산 전문가다.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선정하는 ‘다산학술상’도 수상했고, 2012년에는 다산 정약용 탄생 250주년을 맞아 《목민심서》를 재조명해서 주목을 받았다. 공저자 김은미는 국문학을 전공했고, 역사 인물 동화를 집필하며 알려졌다. 두 저자는 머리말에서 “우리는 열심히 답사를 다녔다. 글을 쓰기 위한 답사라기보다는 인간 정약용을 이해하기 위한 여행이었다. 남양주는 물론이고 춘천이며 해미, 수원, 나주, 곤지암, 포항 장기까지, 정약용과 관련이 있는 곳은 황해도 곡성만 빼고 대부분 다 가보았다. 그래서 강진에도 네 번이나 가게 되었다. 갈 때마다 강진은 참 멀었다. 의정부에서도, 서울에서도, 심지어 부산에서도 강진은 참 먼 곳이었다. 돌아갈 기약도 없이 그 먼 강진으로 유배되어 가던 정약용의 심정을 그곳에 가보고서야 가슴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철저하게 정약용의 숨결을 따라 여행하고 사유하며 문학적 이야기를 구상한 것이다.
이 책에서 나오는 서연과 아빠, 달중과 미영은 어쩌면 그 여행에서 저자들이 만난 다양한 사람들, 아니면 우리들 자신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우리가 그동안 익히 들어왔던 수많은 저서를 남긴 실학자 정약용, 항상 그를 유배지로 내몰았던 원인이 된 서학과 관련된 천주교인 정약용, 화성을 설계한 개혁가 정약용이 아닌 아홉 살에 엄마를 잃었고, 오랜 시간 유배생활을 하며 고향인 마재를 그리워한 ‘인간’ 정약용의 진솔한 모습이 이 책에 오롯이 담겨 있다. 단순히 정약용을 이해하는 책에서 더 나아가 청소년부터 일반 성인까지, 정약용이라는 한 ‘인간’을 알기 위해 처음으로 읽어볼 만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는 빛을 발한다.
-
LIVE
AP4Liberty
37 minutes agoDonald Trump's Nod to the Libertarian Movement: A Free Ross Ulbricht
685 watching -
LIVE
Vigilant News Network
8 hours agoWINNING: Trump WITHDRAWS From the CORRUPT World Health Organization | The Daily Dose
970 watching -
10:45
EvenOut
11 hours ago $0.91 earnedThe Non-Reflecting Mirror On Omegle Twin Prank!
11K3 -
20:07
Scammer Payback
14 hours ago$4,000,000 Trap set on a Scammer
31K5 -
5:45
Tactical Advisor
1 day agoWoox New Lever Action | Shot Show 2025
15K2 -
16:25
Clownfish TV
12 hours agoDEI is Deader Than Disco! Hollywood Most Affected?!
14.6K5 -
1:04:23
CarlCrusher
13 hours agoThe TRUTH about Roswell and the UFO Crash Recovery Material
9.06K2 -
59:40
Trumpet Daily
20 hours ago $4.07 earnedAmerica’s Royal Family - Trumpet Daily | Jan. 21, 2025
11.9K18 -
1:03:14
Bek Lover Podcast
13 hours agoInteresting Times with Bek Lover Podcast
25.4K6 -
3:10:10
Price of Reason
15 hours agoTrump is BACK in Action! Elon Musk's Inauguration Gesture Draws MSM Fire! Disney Prepares For LOSSES
42.2K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