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속 궁금증, 허영엽, 세리, 성경, 로마총독, 수공업, 조세, 선불금, 배심원, 세관장, 원수,마태오복음, 구약, 신약, 모세, 구리뱀, 장대, 이방인신, 보복, 악행,눈에는눈

1 year ago
1

성경 속 궁금증,
명쾌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이해하기 쉽게, 보다 재미있게!

성경을 읽다 보면 여러 가지 의문이 든다. 성경은 누가 기록했는지, 성경 속의 인물들은 왜 저런 행동을 했는지 등 성경 본문에서는 알 수 없는 부분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이러한 의문 때문에 성경이 잘 이해되지 않기도 하고, 어렵다고 느끼게 된다. 이렇게 성경을 읽다 보면 생기는 궁금증을 풀고 싶은 이들을 위한 책이 바로 《성경 속 궁금증》이다.

《성경 속 궁금증》은 서울대교구 대변인이자 홍보위원회 부위원장인 허영엽 신부가 2011년 8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가톨릭평화신문에 연재했던 동명의 칼럼을 엮은 책이다. 연재 당시에도 많은 신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는데 이를 출간하기를 바라는 많은 독자들의 성원에 따라 책으로 펴냈다.

이 책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성경 그 자체에 대한 궁금증, 누가 이 책을 기록했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알려 준다. 2장과 3장에서는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에서 하느님과 예수님께서 하시는 말씀과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의 의미를 세세하게 풀어준다. 4장에서는 성경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배경 지식에 대해 설명한다. 책으로 출간하면서 신자들이 성경을 이해하기 쉽게 느끼도록, 나아가 더 깊이 있는 묵상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많은 신자들이 성경을 읽지만 그 배경과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이해하기 힘들고 어렵다고 느꼈던 것이 사실이다. “성경도 재미를 느껴야 계속 읽을 수 있다”는 저자의 머리말처럼 이 책이 많은 신자들에게 성경을 이해하기 쉽게, 보다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책속에서

“당신 말씀이 제 혀에 얼마나 감미롭습니까! 그 말씀에 제 입에 꿀보다도 답니다.”(시편 119,103)
저는 공부든 취미든 재미있어야 오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읽는 성경은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 역사와 문화 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구약 시대와 그 지역 사람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 해도 우리는 그렇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 그래서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성경이 기록된 시대의 문화, 풍속, 지리 등 주변의 배경을 잘 알고 있어야 하지요. 단 한 사람이라도 이 책을 읽고 성경을 조금 더 유익하고 재미있게 느끼게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습니다.
― ‘머리말’ 중에서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자비를 베푸시어 구리 뱀을 쳐다보는 사람은 누구나 목숨을 건지게 하셨다. 이처럼 모세를 통해 하느님께서 구원의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 구리 뱀이다. 당시 매일 끊임없이 장소를 이동해야 했던 이스라엘 백성은 이방인 신의 유혹을 받았을 것이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구리 뱀 사건을 통해 체험한 것은 구원과 풍요는 인간의 힘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 대한 충실과 신뢰 속에서 얻어진다는 것이다. 구리 뱀은 이미 그 자체가 백성의 배신을 넘어서는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 그리고 생명이라는 하느님의 선물이 드러난 상징이다.
― ‘모세는 왜 구리 뱀을 장대에 달아 놓았을까?’ 중에서

예수님은 악행과 학대를 당할 때 보복하지 말라고 가르치셨다. 예수님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대신에 ‘원수를 사랑하라’는 원칙을 제시하셨다.(마태 5,38-48 참조) 이웃 사랑에 대한 예수님 가르침의 특징은 당시 유다인들의 일반적인 이웃 개념의 한계를 뛰어넘은 것이었다. 예수님은 더 나아가 원수를 미워하지 말고 사랑해야 하며 박해하는 사람을 위하여 기도하라고 하셨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그리고 너희를 박해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마태 5,44)
― ‘성경에서 원수를 사랑하라는 말은 어떤 의미일까?’ 중에서

식구들은 제각기 눈물 병을 하나씩 갖고 있었는데, 슬픈 일로 눈물을 흘리는 동안 눈 아래에 병을 대고 흐르는 눈물을 병에 담았다. 그러고는 병을 밀봉해 집 안에 잘 보이는 곳에 보관했다. 가족이나 친척 중에 재난이 생기면 그 눈물 병을 챙겨서 그 재난이 일어난 곳으로 모여들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눈물 병을 매우 소중하게 간직하고 성스럽게 여겼다. 또한 사람이 죽으면 그의 눈물 병을 함께 매장했다.
― ‘성경에 나오는 눈물을 담는 병은 무엇일까?’ 중에서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