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본사, 신상목, 에도, 소바집,메밀국수,누노야, 료헤, 호시나가, 전저, 영주, 훈도시, 다이묘, 참근교대제, 된장, 센다이미소, 경쟁, 도쿠가와이에야스

1 year ago
5

근대화 우등생 일본을 만든 것은 무엇인가?
한국인들이 몰랐던 ‘축적’과 ‘가교’의 시간, 에도시대.
동아시아 삼국의 근대화 경로의 운명을 가른 일본의 ‘에도시대’ 대해부를 통해
21세기 새로운 역사의 길을 묻다!

8·15 광복절을 맞이할 때마다 우리는 일제의 잔악한 침략과 수탈에서 벗어나 ‘빛을 되찾은’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며 ‘반일’민족주의를 제고한다. 그러나 정작 우리 내부의 문제를 직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조선은 어떤 사회였으며, 왜 식민지가 되었는가? 19세기 후반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시기에 근대국가 수립이라는 시험대 앞에서 일본은 최우등생, 중국은 열등생, 조선은 낙제생이었다면, 무엇이 그러한 차이를 만들었을까?
우리는 혹시 훈도시를 입고 칼을 찬 야만의 나라에 고래古來부터 문물을 전수해주었건만 은혜를 원수로 갚은 일본에 대한 역사적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는 건 아닐까? 정작 동아시아 한중일 삼국 중 유독 일본만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홀로 다른 길을 걸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의 역사 교과서에 등장하는 에도시대의 일본은 임진왜란 때 납치한 도공이나 조선통신사에게 한 수 배우며 선진 문물을 습득한 문명의 변방국이다. 그러나 단언컨대, 일본의 근세 260여 년을 그런 식으로 바라보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2017년 현재 일본은 총 2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한국에서는 그때마다 메이지유신을 지목하고, 이후 근대화 과정에 부러움을 보낸다. 그러한 분석을 접할 때 다시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의 저력을 만든 것이 정말로 그 100년일까? 과연 100년 만에 그러한 국가적 역량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했을까? 이 책은 그러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답을 찾아나가는 여정의 기록이다. 그러한 여정의 끝에 도달한 종착지는 일본 ‘근세의 재발견’이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에도 한복판 200년 된 소바집의 의미

제2장 역사를 바꾼 우연(1): 에도의 탄생
허허벌판에서의 시작 | 물을 다스리는 자가 천하를 다스린다 | 다이묘의 등골을 빼 인프라를 구축하다

제3장 역사를 바꾼 우연(2): 참근교대제
근대화의 예습, 참근교대제 | 폭포수와 같은 낙수효과 | 돈이 돌고 도시가 발달하다 | 서민 계급이 새로운 실세로 등장하다 | 전국 네트워크의 구축

제4장 ‘된장(미소)’으로 본 근대 일본의 정치경제학
전략물자가 된 ‘미소’ | 부국강병의 꿈이 담긴 ‘센다이미소’ | 품질과 신뢰로 에도 시장을 뚫다 | 새로운 시대, 넘버원 미소의 자리는? | 경쟁과 자율성이 꽃피운 미소 문화

제5장 여행천국의 나라, 관광입국의 시대
평생에 한 번은 이세참배를…… | 모든 길은 에도로 통한다 | 여행의 대중화: 장기투어, 고講, 료칸, 유곽 | 시대를 앞서간 ‘觀光’의 탄생

제6장 출판문화 융성의 키워드: 포르노, 카피라이트, 렌털
출판 혁명의 시작은 포르노 | 시대를 풍미한 초베스트셀러의 등장 | 유교의 이상을 완성한 『경전여사』 | 일본판 카피라이트, ‘판권’의 탄생 | ‘대본업’의 등장과 공유경제 |문화 융성은 시장 활성화의 이음동의어

제7장 교육의 힘: 번교, 데라코야, 주쿠
공교육의 핵심 번교藩校 | 도쿄대학으로 이어진 막부의 3대 직할 교육기관 | 서민교육의 중심 ‘데라코야’ | 신지식인의 산실 ‘주쿠塾’

제8장 뉴스와 광고 전단의 원형: ‘요미우리’와 ‘히키후다’
에도시대의 신문, ‘요미우리’ | 광고지의 효시 ‘히키후다’

제9장 과학적 사고의 문을 연 『해체신서』
일본 지식계를 강타한 서양 해부학 | 일본 최초의 본격 번역서 『해체신서』 | 하나오카 세이슈의 세계 최초 전신마취 외과수술 | 호시노, 인체 골격 제작에 나서다

제10장 시대를 앞서간 지도 이노즈伊能圖
은퇴 후 시작한 천문학 공부 | 측량 마니아 이노, 걸어서 에조치까지 | 17년에 걸친 10차례의 측량 여행 | 이노즈, 정확성의 비결

제11장 사전으로 서구 문명과 언어의 통로를 만들다
0에서 1을 만드는 도전 | 일본 난학자들의 보물, 『두후하루마』 | 일본 최초의 영일사전 | 근대화를 촉진한 언어의 통로

제12장 소비가 주도하는 경제의 힘, 섬유혁명
근세 초기 동아시아 무역 | 목면 보급과 자본주의의 맹아 | 도시의 중심 에도, 새로운 시장의 확대

제13장 도시 서민문화의 진화: 패션의 유행과 ‘이키粹’ 문화
규제와 간섭이 만들어낸 문화의 진화 | ‘이키’의 미의식, 심플한 세련됨을 추구하다

제14장 문화에서 산업으로, 도자기 대국의 탄생
다도의 유행과 도자기 전쟁 | 도자기의 신, 이삼평 | 진화하는 아리타야키 | 하이엔드부터 보급형 자기까지

제15장 도자기 산업의 발달사: ‘예술의 후원’과 치열한 경쟁
만국박람회로 판로를 뚫다 | 민관학 공동 체제로 해외시장을 개척하다 | 조선의 도자기가 정체되는 동안……

제16장 에도 지식인의 초상: 시대가 변하면 지식도 변한다
공자의 가르침은 공자에게서 찾다 | 이시다 바이간, 상인의 길을 밝히다 | 마음을 열고 세계를 바라보다

제17장 ‘대망’의 화폐 통일: 삼화제와 화폐 개혁
금화 은화 동화 3종이 본위화폐로 | 화폐개혁, 펀치를 맞다

제18장 ‘화폐의 덫’과 막부체제의 한계
이원적 화폐 유통구조와 료가에쇼 | 화폐본위경제와 미곡본위경제 병행의 모순 | 중앙화폐와 지역화폐 병존의 모순

에필로그
도판 출처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