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의 미래, 심리학, 케이틀린 유골릭 필립스, 연결과 참여, 서문, 소셜미디어, 온라인, 퍼거슨, 스마트폰, 비대면, 비접촉, 기술플랫폼, 소통, 인종차별, 여성혐오, 불특정다수

3 years ago

감정의 미래 언택트 시대와 Z세대, 기술보다 소중한 공감에 관한 보고서
케이틀린 유골릭 필립스 지음 | 강수희 옮김 | 라이스메이커 | 2020년 10월 08일 출간
#교양심리 #소셜미디어 #에듀테크 #AI #로봇기술 #가상현실 #기술플랫폼 #인간세계 #소통
기술이 인간의 감정을 다루는 세상에 대한 분석과 통찰
준비 없이 찾아온 비대면·비접촉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질문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들은 보고, 듣고, 쓰고, 말하고, 느끼는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기술들이 인간과 인간이 서로의 감정을 공감하고 소통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을까? 『감정의 미래』는 저널리스트이자 편집자인 케이틀린 유골릭 필립스는 교육 현장, 의료 현장, 뉴스, 소셜 미디어, 게임 업계 등에서 활동하는 VR, AR, AI 기술 기반 플랫폼 개발자, 과학자, 로봇 공학자, 심리학자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기술 플랫폼과 인간의 감정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앞으로 어떤 해결과제가 남았는지 살펴본다.

온라인 세계에서 벌어지는 인종차별, 여성혐오, 불특정 다수를 향한 비난 그리고 사기와 같은 현상들이 오프라인 세계보다 더 격렬하게 불거졌다는 것이다. 오프라인에서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온라인상의 친구들과도 수시로 교류하게 되면서 자신의 의견과 감정을 나누는 일이 극단적으로 늘어났다. 저자 케이틀린 유골릭 필립스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BLM(Black Lives Matter) 운동과 미국 경찰의 과잉 대응을 지적했다가 경찰의 입장은 생각하지도 않느냐며 분노한 친구의 댓글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당시에 정작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온전히 전달하지 못하고 서로의 입장만 확인하는 소모적인 대화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답답함을 느꼈다고 한다.

커뮤티케이션의 환경이 빠르게, 넓게, 다양하게 바뀐 만큼 우리의 감정을 표현하는 일도 함께 늘었지만, 상대방의 눈을 보는 대신 컴퓨터 화면을 보며 자판을 두드릴 때 공감도가 떨어지는 것은 분명하다고 필립스는 지적한다. 하지만, 뒤집어 생각해보면 온라인상에서는 지구 반대편의 사람들과도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책은 과연 새로운 기술의 시대, 서로 대면을 하지 않는 시대에 사람과 사람들이 서로의 감정에 공감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 탐색한다.
북소믈리에 한마디!
이 책은 재난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한 리얼리티 뉴스, 인종차별을 겪는 사람의 입장이 돼보는 가상 현실 공감 프로그램, 환자의 고통을 체험하거나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비대면 공감 시뮬레이션 의료 소프트웨어 등과 관련된 VR, AR, AI 기술 기반 플랫폼 개발자, 과학자, 로봇 공학자, 심리학자 등을 인터뷰해 인간의 감정을 온전하게 전달하는 일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하게 한다. 개발자나 사회적 편견의 편향성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의 사용자들이 공감력을 잃게 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한마디로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의 편의를 위해 만든 기술로 인해 다시금 인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떠올리게 한다.
저자소개
저자 : 케이틀린 유골릭 필립스
공감과 기술, 소셜 미디어, 건강과 심리학, 비즈니스와 투자에 대한 기사와 에세이, 인터뷰를 전문으로 다루는 저널리스트이자 프리랜스 편집자. 무제한 인터넷으로 전 세계 모든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사무실에 꼼짝없이 갇혀 하루 8시간을 일하고, 하루 평균 4시간을 꼬박 스마트폰만 들여다보는 밀레니얼 세대. 인간을 정말 인간답게 만드는 공감에 대한 주제로 칼럼을 쓰며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에서 남편과 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다. 〈리터러리허브〉, 〈사이언티픽아메리칸〉, 〈뉴욕포스트〉, 〈바이스〉, 〈이스태블리시먼트〉, 〈쿼츠〉, 〈로360〉, 〈컬럼비아저널리즘리뷰〉, 〈내러블리〉 등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인간의 선의를 현대 기술과 통합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킬 만큼 가치 있는 보고서. 저널리스트이자 편집자인 필립스의 설득력 있는 데뷔작. 현실의 인간관계보다 기술을 우선시하는 문화를 비판할 뿐만 아니라 기술과 공감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상호 공존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닫기
라이브러리저널
기술 주도의 시대에서 공감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하게 독려하는 책. ‘상시 접속된’ 기술에 대한 의존도와 인간성 및 공감 능력의 균형을 맞추려는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뉴스위크
기술이 공감에 미칠 영향을 예측해 탐사하고, 인류가 공감하기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을 펼쳐 보여준다.
퍼블리셔스위클리
필립스는 인터뷰를 통해 오늘날 가장 변화의 폭이 크고 흥미로운 주제인 인간의 감정과 기술의 상호 작용을 탐구한다.
책 속으로
온종일 네모난 스크린에 붙어 앉아 전 세계의 친구나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 그리고 알고리듬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에 맞는다고 보긴 힘들다. 하지만 지금의 현실은 조금 다르다. 천지개벽할 사건이 아니라면 앞으로 이런 추세는 더 가속화할 것이다. 기술이 발전해 소셜 네트워킹은 물론 알고리듬 추적, 안면인식,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게임 및 근무, 대화가 가능한 고객서비스 로봇까지 등장하고 아이의 놀이용이나 노인의 친구로 애니메트로닉 장난감을 사주기도 한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공상과학 영화에나 나올 법했던 발명품들이 이제는 일상으로 들어왔고 이런 흐름이 바뀌리란 기대는 비현실적이다._작가의 말 중에서

“다시는 악플을 캡처해서 오탈자를 가지고 놀리는 짓은 하지 않을 겁니다.” 마론은 온라인 공방이 대개 생산적이지 않다는 것도 알게 됐다고 말했다. 또 반드시 녹화를 해야 할 때가 아니라면 대화는 오프라인으로 시도할 것이라고 했다. 인터넷을 통해 유명해진 사람이 말하기엔 모순된 것 같지만, 온라인에서 자란 밀레니얼 세대인 나로서는 이해한다. 나 역시 껄끄러운 문제는 오프라인 대화를 시도했고 마찬가지 상황이 다시 벌어진다면 더 공감하는 자세로 임할 것이다. 하지만 생활 속에서 SNS의 사용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이런 변화를 이룰 수 있을지 의문스럽기는 했다._1장. 대화가 게임인 세계 중에서

교육용 앱과 체험은 매력적이고 효과도 좋아 보인다. 한없이 착하고 유익한 점만 가득해 보인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스마트폰을 비롯해 사용자의 활동이 추적되는 기기에서 돌아가는 앱이고 게임에 불과하다. 개발자들은 도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감시는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수집한 데이터는 실제로 익명화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기술 시장이 커지고 기술 자체가 더 복잡해짐에 따라 착하기만 했던 기술 도구들이 사악해질 수도 있다._2장. 어떻게 공감을 가르칠 것인가 중에서

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면서 음악이 깔렸다. ‘20분 전, 일리노이주의 한 보건 센터로 가는 길’이라는 자막이 화면에 떴다. 앞서 화면에서 봤던 여자가 차를 타고 센터로 가는 길이었고, 나는 그 차의 뒷좌석에 앉아 있는 느낌이었다. 길 양옆으로는 시위대가 늘어서서 끔찍한 그림과 글로 가득한 피켓을 들고 “의사들은 당신 아이를 죽일 거요!” 같은 말을 외쳐댔다. 형광 조끼를 입은 한 남성이 차로 다가와 창문을 내리라고 손짓한다. 창문을 열자 남성은 센터에 가지 말고 길 아래에 있는 ‘더 안전한’ 다른 장소로 안내할 테니 따라오라고 말한다. 나는 내 심장이 더 거세게 뛰는 것을 느꼈다. 그다음에는 또 화면에 이런 자막이 떴다. ‘앞으로 나오는 오디오는 모두 미국 전역의 시위에서 녹음한 실제 내용입니다.’_3장. VR: 공감 기계 중에서

360도 관점의 다큐멘터리 〈난민(The Displaced)〉 제작을 위해, 뉴욕타임스 매거진의 영상 제작자들은 전 세계를 누비며 전쟁과 박해를 피해 고국을 떠나 난민이 된 아이들의 삶을 담았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영상을 보면 가슴이 미어진다. 그러나 비록 가상이라 할지라도 아이들의 하루를 함께한다는 것은 공감을 촉발하는 방식에서 뭔가 다르다. 사방에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가운데 오래된 건물의 부서진 지붕 위에 서 있는 듯한 느낌, 아이가 노를 젓고 있는 카누에 타고 있는 느낌, 그리고 무너져 내리는 교실에 아이들과 함께 앉아 있는 느낌. 체험자가 느끼는 연대감은 아이들에 대한 이해의 차원을 넘어선다. 정해진 시각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대로 사방을 아이들의 시각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다른 매체에서는 찾을 수 없는 리얼리티였다._4장. 뉴스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다 중에서

“공감이 중요하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죠. 자신의 상사와 관리자가 공감 능력이 높고 이타적이라고 느끼는 직원은 혁신에 대한 의지가 더 높습니다. 팀워크도 더 강하고 일도 더 열심히 하니 수익도 더 나겠죠.” 하지만 공감 그 자체는 어떤가? 조망 수용을 순수익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웨이츠는 기업이 고객 및 동료 직원 간의 연대감과 몰입도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직원들을 숨도 못 쉬게 만들어 실제로는 공감 능력을 더 많이 배양할 수도 있는 방법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그 방법은 바로 일과 삶의 균형이다._5장. 동료의 마음을 읽는 기술 중에서

어떤 도구나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다뤄야 할 의사가 배우나 생명이 없는 물건을 대상으로 이미 연습을 했다면 안심이 된다. 이런 종류의 훈련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도 많다. 그러나 환자와의 대화는 의사가 가진 공감 능력 이상으로 진행될 수가 없다. 그래서 의대생과 전문가들은 반대편 입장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 누구나 살다 보면 한번은 환자 입장이 되고, 의사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다행히) 모든 사람이 모든 상황을 겪는 것은 아니고 대다수 의료 전문가는 자기 분야의 관점에 매몰되기 쉽다. 그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의료 기술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를 ‘비대면 공감(tele-empathy)’이라고 한다._6장. 의사와 환자 사이의 공감 중에서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