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순모양주자,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靑磁竹筍形注子, 청자, 식생활 , 음식기, 주전자,비색, 유약, 도자공예, 경기도, 개성, 고려, 경기도, 관리과, 고고과, 미술과, 도자기

2 years ago
1

靑磁竹筍形注子, 청자 죽순형 주자
전시명칭 청자 죽순 모양 주자
국적/시대 한국 - 고려
출토지 경기도 - 개성부근
재질 도자기 - 청자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주전자
크기 높이 19.2cm, 뚜껑높이 6.7cm, 입지름 3cm, 지름 1.6cm, 몸통지름 15cm, 바닥지름 7.6cm, 최대지름 6cm, 굽높이 0.2cm
지정문화재 보물 1931 호
소장품번호 덕수 4499
전시위치 도자공예-청자실
죽순 모양을 한 주전자이다. 죽순은 상형 청자의 소재로 자주 이용되었다. 몸통, 귀때와 손잡이 등 어느 것 하나 흐트러짐 없이 조화를 이루어 완벽한 형태미를 보인다. 여기에 비색(翡色) 유약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입혀져 있어 고려 순청자 중에서도 최상품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국립박물관은
1945년 8월 15일 이후 조선총독부박물관(1915년 12월 1일 경복궁 안에서 개관)을 인수하여 동년 12월 3일 개관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박물관은 대한제국 황실이 1909년 11월에 서울 창경궁에 개관한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이다. 제실박물관은 1911년 2월 1일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 1938년 4월 이왕가미술관, 광복 이후인 1946년에 덕수궁미술관으로 각각 개편되었다가 1969년 5월 국립박물관에 통합되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1926년 6월 20일에 경주분관, 1939년 4월 1일에 부여분관을 각각 개관하였다. 지방에서는 지역 유지들에 의하여 개성부립박물관(開城府立博物館, 1931년 11월 1일), 평양부립박물관(1933년 10월), 공주박물관(1938년 10월 1일)이 각각 개관되었다.

1945~
1945.12.03. 국립박물관 개관(조선총독부박물관 인수)
1946. 04. 공주분관 개관
1946. 04. 개성박물관을 개성분관으로 흡수
1946. 05. 경주 호우총과 은령총 발굴조사(최초 발굴조사)
1946.08. (중요출토품전) 개최(최초의 특별전)
1949. 05. 07. (미술강좌) 개설(최초의 사회교육강좌)
1949. 12. 12. 국립박물관 직제 공포(대통령령 제234호)
1950년대
1950. 04. 국립민족박물관을 남산분관으로 통합
1950. 12. 한국전쟁으로 소장품 부산으로 임시 이전(광복동 사무실)
1953. 08. 부산에서 경복궁내 청사로 복귀
1954. 01. 남산분관으로 이전개관
1955. 06. 23 남산분관에서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전 개관
1957. 12. 워싱턴 등 미국 8개 도시에서 한국 국보전〈masterpieces from korean art〉개최(최초 국외전시)(~1959년 6월까지)
1959. 10. 1959. 10.- 경주 감은사지 발굴조사(최초 사찰유적 조사)
1960년대
1960. 08 〈미술자료〉창간(최초 학술지)
1961. 01. 관리과, 고고과, 미술과로 직제 개편
1968. 07. 24. 문화공보부 발족(대통령령 제3519호)
1969. 05. 덕수궁 미술관 통합
1972. 07. 19. 국립박물관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명칭 변경
1986. 08. 21.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개관(구 중앙청)〈토요강좌〉 및 〈노인문화강좌〉 개설
1987. 10. 30. 국립청주박물관 개관
1989. 07. 〈고고학지〉 창간
1990년대
1990. 04. 움직이는 박물관 개설(현 찾아가는 박물관)
1990. 10. 26. 국립전주박물관 개관
1992. 10. 30. 국립민속박물관 분리 직제 개편
1993. 08. 06. 국립부여박물관 이전 개관(현 박물관)
1993. 10. 〈미술사학지〉 창간
1994. 12. 07. 국립대구박물관 개관
1972. 08. 25. 경복궁으로 신축 이전 개관(현 국립민속박물관)
1972. 11. 국립중앙박물관 직제 개편(사무국과 학예연구실 신설)
1973. 10. 공주분관 이전 개관(공주시 중동)
1974. 05. 〈박병래 수집 이조도자전〉 개최(최초의 기증유물 특별전)
1975. 07. 02. 경주분관 인왕동으로 이전 개관(현 박물관)
1975. 08. 20. 지방분관을 소속박물관으로 개편
1976. 02. 보존과학실 개설
1977. 04. 08. 〈국립박물관특설강좌〉 개설
1978. 12. 06. 국립광주박물관 개관
1979. 04. 12.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앙박물관 소속으로 흡수
1980년대
1980. 12. 동원 이홍근 수집 유물 기증(최대 수량 기증)
1984. 11. 02. 국립진주박물관 개관
1996. 03.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개설
2005. 08. 16. 직제개정(교육문화교류단 신설 등 25명 증원)
2005. 10. 28. 새 국립중앙박물관 신축 이전 개관(용산)
2006. 04. 06. 직제개정(고객지원팀 신설)
2007. 05. 22. 직제개정(아시아부ㆍ보존과학팀 신설, 교육홍보팀을 교육팀과 국제교류홍보팀으로 분리신설,소속박물관 관리과를 기획운영과로 변경)
2008. 03. 06. 직제개정(박물관정책과를 기획총괄과로 변경)
2010년대
2010. 02. 11. 직제개정(어린이박물관팀 신설, 사업기획팀과 국제교류홍보팀을 사업기획과와 국제교류홍보과로 변경)
2010. 12. 09. 직제개정(연구기획부 신설, 고고부와 역사부를 통합하여 고고역사부 신설, 사업기획과. 전시팀. 교육팀을 문화사업과. 전시과. 교육과로 변경)
2012. 09. 07. 직제개정(문화사업과와 국제교류홍보과를 통합하여 문화교류홍보과 신설)
2013. 09. 12. 직제개정(디자인팀 신설)
2013. 11. 22. 국립나주박물관 개관
2015. 07. 20. 직제개정(어린이박물관팀을 어린이박물관과로 변경)
2015. 12. 30. 직제개정(미륵사지유물전시관 신설)
2019. 02. 26. 직제개정(미륵사지유물전시관을 익산박물관으로 개편)
2019. 05. 07. 직제개정(기획총괄과와 연구기획부를 폐지하고 미래전략담당관과 박물관정보화과를 신설, 기획운영단을 행정운영단으로 변경)
2020년대
2020. 06. 09. 직제개정(관리과, 아시아부를 시설관리과, 세계문화부로 변경)
2020. 12. 22. 직제개정(박물관정보화과를 디지털박물관과로 변경)

1996. 12. 13.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개관(현 국립고궁박물관)
1997. 10. 31.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 기공식
1997. 11. 제 1회 동원학술전국대회 개최
1998. 01. 15. 국립진주박물관 재개관(임진왜란 전문 박물관)
1998. 07. 29. 국립김해박물관 개관
1999. 09. 〈고고학지〉 창간
2000년대
2001. 04. 30.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업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일원화
2001. 06. 15. 국립제주박물관 개관
2001. 09. 29. 직제개정(용산 새 박물관 개관준비요원 41명 증원)
2002. 10. 30. 국립춘천박물관 개관
2003. 03. 국립중앙박물관 차관급 기관으로 승격
2003. 11. 29. 직제개정(역사부 신설 19명, 공주박물관 11명 증원)
2004. 05. 14. 국립공주박물관 이전 개관(현 박물관)
2004. 10. 1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이전을 위한 임시 휴관
2004. 11. 18. 직제개정(박물관 정책과 신설)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