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살리는 음식 사람을 죽이는 음식, 최철한, 사막, 건조, 일교차, 선인장, 알로에, 진액, 악마의발톱,동충하초, 겨우살이, 미즐토, 곡기생, 적영지,아가리쿠스,탁솔,홍경천

2 years ago

목차
저자 서문
추천사

CHAPTER1 우리가 먹고 있는 것들의 비밀
-건강하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물, 음식, 약초, 생태 이야기
세상에는 33가지의 물이 있다
자연에는 있고 인공에는 없는 것
북극여우와 사막여우가 다른 이유
살아남은 힘이 약효다
허준은 약효를 어떻게 알아냈을까?

CHAPTER2 몸속 막힌 것이 시원하게 뚫린다
-싹, 발효식품, 큰 뿌리 채소, 속 빈 채소의 소화 이야기
싹은 체기를 뚫어준다
발효식품은 천연 소화제
뿌리가 클수록 소화를 잘 돕는다
향기는 뭉친 기운을 풀어준다
속 빈 식물은 막힌 구멍을 뚫는다
넓은 잎은 흩어서 소화시킨다
면, 떡, 빵은 겨울에 먹는 것이 좋다
자장면엔 단무지가 단짝이다

CHAPTER3 술독과 소변은 순환으로 다스려라
-덩굴식물, 습지식물, 조개류, 견과류의 해장 이야기
술은 약인가, 독인가?
술안주와 해장은 덩굴식물로
술독을 빼주는 껍데기동물
수생식물은 몸속을 정화한다
소변이 잦을 때는 견과류와 닭똥집을

CHAPTER4 직장인, 임산부, 수험생 건강 지키기
-힘 좋은 물고기, 족발, 오리, 곰탕으로 차린 밥상 이야기
기운 없는 남자에게 힘 좋은 물고기를
젖이 부족한 임산부에게 족발을
산후조리에는 해산물과 덩굴식물을
해독이 필요하면 시궁창 오리를
불면증에 시달린다면 영지를
황달엔 식물의 순과 미나리를
두뇌가 좋아지는 먹거리
눈이 밝아지는 먹거리
뼈 건강과 곰탕의 관계
과일을 가장 잘 먹는 방법

CHAPTER5 짜고 시고 쓰고 맵고 단 오미(五味)의 세계
-홍조류, 오미자, 고들빼기, 오신채, 보신탕의 맛 이야기
붉은 식물은 약한 짠맛을 띤다
약한 신맛과 강한 신맛은 정반대 효과
기운 보충엔 약한 쓴맛, 화를 내릴 땐 강한 쓴맛
매운맛은 보약의 효과를 갉아먹는다
후끈한 맛은 속을 따뜻하게 데워준다
끝맛이 달아야 몸에 좋은 단맛

CHAPTER6 보약보다 좋은 제철음식의 비밀
-쑥, 두릅, 고로쇠약수, 삼계탕, 전어, 부럼, 만두의 계절 이야기
계절과 음식의 2가지 상관관계
봄이 봄을 이긴다
삼복더위에는 이열치열이 정답
전어는 꼭 가을에 먹어야 한다
겨울밤, 메밀묵과 찹쌀떡을 먹는 이유

CHAPTER7 사막부터 한대까지, 고산부터 심해까지
-알로에, 참당귀, 동충하초, 참치, 녹용, 자작나무의 산지 이야기
사막식물은 보습한다
능선식물은 풍(風)을 몰아낸다
고산식물은 산소를 공급해 암을 치료한다
심해 물고기는 뇌, 눈, 피에 좋다
한대지역 생물은 양기를 북돋는다
맑은 물에는 독초가 산다

CHAPTER8 쌀도 가지가지, 먹는 방법도 가지가지
-안남미, 찰벼, 밀, 현미, 발아현미, 떡, 죽, 숭늉의 구수한 이야기
전 인류의 주식, 벼과 식물
좋은 쌀은 병도 고친다
백미, 현미, 발아현미 삼형제
소화된 밥, 죽
겨울엔 떡, 여름엔 미숫가루

CHAPTER9 모든 답은 자연 속에 있다
-생태치료, 생태기능식품, 우리나라의 특별한 생태 이야기
생태가 내 몸을 치료한다
백두산에 당근을 심는다면
우리나라 약재의 효능이 좋은 이유

참고자료
책 속으로
고산 식물은 산소를 공급해 암을 치료한다!
고도가 100m 높아질 때마다 기온이 0.6℃씩 떨어진다고 한다. 공기가 맑아지고, 자외선이 강해져 밤에 열손실도 커진다. 또한 공기 밀도가 낮아지면서 수분이 쉽게 증발해 버린다. 고산 식물들은 이런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추위에 버티고 수분을 유지하는 힘을 키우며, 공기를 더 많이 흡수하는 법을 배운다.
겨울이 지나고 봄이 와서 고산식물이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올 때는, 활성산소(superoxide radical)에 의한 산화 반응으로 상처입기 쉽다. 고산식물은 이에 대비하기 위해 초봄에 항산화제인 SOD(superoxide dismutase)를 왕창 만들어 놓는 생존기술을 발휘한다. 이런 고산식물의 노력은 그대로 약효로 나타난다.
속을 따뜻하게 데워줄 뿐 아니라 몸에 진액을 공급하고 혈액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것이다. 이런 독특한 약성 때문에 티베트 장약재(藏藥材)라는 약초 그룹이 나타나게 되었다. 티베트 등지에서 자라는 동충하초(冬蟲夏草), 홍경천(紅景天), 설련화(雪蓮花) 등의 약초는 공기가 희박한 환경에서 공기를 더 잘 흡수하므로 산소 공급 능력이 탁월하다. 같은 동충하초라 하더라도 해발 4000m에서 자란 개체와 8000m에서 자란 개체는 약효가 다르다는 말이다.

*산소가 부족하면 암이 발생한다
1931년 바르부르크(Otto Heinrich Warburg) 박사는 세포 내 산소호흡이 부족해 암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노벨 의학상을 수상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체내 산소량이 감소하면 산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효소들이 죽고,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세포들은 살아남기 위해 당분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는데, 이중 일부가 암세포로 변이된다’는 것이다.
세포 내 산소가 35% 감소하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거꾸로 말하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어 당분 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암 발생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암 환자 중에서 어느 정도 자생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고산에 위치한 병원에서 요양하는 것이 좋다. 초기에는 몸이 힘들 수 있지만, 곧 몸이 고산 환경에 적응한다. 저절로 복식호흡이 되므로 체내 산소흡수력이 좋아지는 것이다.
남미 고산지대에 사는 추아 족이나 네팔의 구르카 족의 경우, 폐활량이 엄청나다. 일반 사람도 고산에 살면 산소 흡수율이 높아져 암에 대한 저항력이 커진다. 고산지대의 환경에 적응할 힘이 없는 환자라면 고농도 산소실에서 치료받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는 예방주사와 혈청주사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자생력이 있는 사람에겐 죽은 병균이나 약한 병균을 직접 주사해 항체를 만들게 하는 예방주사를, 자생력이 없는 사람에겐 항체를 가진 혈청을 직접 주사하는 혈청주사를 처방하는 것이다. 적재적소는 그래서 중요하다.

*최악의 환경이 만든 최고의 효과
동충하초, 겨우살이(미즐토, 곡기생), 적영지, 아가리쿠스 등 고산지대의 버섯류들은 세포의 산소결핍으로 발생하는 암을 치료한다. 그런데 왜 하필 버섯일까? 고산 식물에 기생하는 버섯은, 피기생체보다 더 강력한 산소 흡인력을 갖지 않고서는 살아남지 못하기 때문이다. 최악의 환경에서 고군분투하는 과정에서 최고의 약성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렇다고 고산지대에서 나는 모든 식물과 버섯이 암에 좋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일부는 환경에 동화되는 방향으로, 즉 산소 결핍 상태를 즐기는 방향으로 적응한 것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식물과 버섯을 먹으면 체내에서도 산소 결핍 환경이 재현된다. 항암 성분인 ‘탁솔(taxol)’은 주목나무에서 추출되는데, 보다 높은 지역에서 자란 개체일수록 그 성분의 양과 질이 우수할 것이다. 이렇듯 식물이 생성하는 모든 물질은 그 식물의 필요에 의한 것이다. 단연코 우연히 존재하거나 공연히 만드는 것은 없다.

▣ 겨우살이(미즐토, 곡기생)
겨우살이는 주로 참나무에 기생하며 고혈압, 신경통, 협심증 등에 작용한다. 독일에서는 미즐토(mistletoe)라는 이름의 암 치료제로 개발되어 환자들에게 복강주사로 투여된다. 기생하는 것들은 기생하는 것에 작용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이런 법칙으로 보자면 암과 태아가 몸에 기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겨우살이는 임신 시 태동 불안이나 피가 비치며 유산 기미가 있을 때 사용된다.

▣ 홍경천
티베트에 가면 고산병 예방용으로 가장 많이 복용하는 것이 홍경천이다. 홍경천은 수십 종이 있는데, 해발고도 2000~5000m의 산소가 부족하고 건조하며 자외선이 강한 고산에서 주로 자란다. 우리나라 백두산에 자생하는 좁은잎돌꽃도 홍경천의 일종이다. 홍경천은 산소 결핍, 건조, 자외선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산소 공급 능력이 뛰어나 고산반응, 뇌 산소 결핍, 노화 방지, 만성 피로를 없애 준다. 러시아에서는 우주 비행사, 비행기 승무원 닫기
출판사 서평
▣ 책 소개

이 책은 기존의 식품학, 영양학, 식물학은 물론 한의학과도 다른 시각에서 음식과 약초를 통찰하고 있다. 약효란 어떤 성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생명체가 살아남기 위해 기울인 노력과 기억에서 나오며, 그 기억이 우리 몸속에서 그대로 재현된다는 것이다. 고산 약초는 공기가 희박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산소를 끌어들이는 기능이 활발하므로, 이를 사람이 섭취했을 때 우리 몸에 산소를 공급해주어 암을 예방해준다. 이 책은 이런 방식으로 능선 식물, 사막 식물, 껍데기 동물, 습지 생물, 기생 버섯, 심해 물고기, 잎 넓은 식물, 구멍 뚫린 식물, 싹과 봄나물 등의 특징과 효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눈만 뜨면 ‘어떤 증상엔 어떤 음식과 약초가 좋다’는 건강정보가 넘쳐나는 시대,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금해야 할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이 책은 ‘무엇이 어디에 좋다’를 넘어서 ‘왜 그런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즉 원칙을 알려주고 있다. 음식과 약초에 숨겨진 블랙박스를 해독함으로써 나와 내 가족에게 필요한 음식을 스스로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출판사 서평

인삼 천 뿌리가
산삼 한 뿌리를 못 당하는 이유

음식에 숨겨진 블랙박스를 해독하다!
인삼과 산삼에 들어 있는 몸에 좋은 성분을 사포닌이라고 한다. 만약 둘에 들어 있는 사포닌이 똑같은 것이라면 계산기를 두드릴 필요도 없이 인삼을 먹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죽자고 산삼을 찾는다. 뭐라고 딱히 설명할 길은 없지만 무의식적 수준에서 산삼 한 뿌리가 훨씬 효과가 강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즉 성분을 넘어선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무언가’는 무엇일까? 아마 그것은 서양과학이 첨단 성분분석기를 돌려서도 찾아내지 못한 것이리라. 첨단과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그것, 이 책의 필자인 최철한 원장은 그것을 기억, 노력, 에너지, 벡터, 운동성이라고 표현한다. 모든 생명체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다. 자연환경을 극복하며, 경쟁자들 틈에서 더 많은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이런 투쟁과 노력의 기억은 고스란히 생명체에 각인되고, 우리 인간의 몸속에 들어와서 그대로 재현된다는 것이다.

양파가 좋다, 강황이 좋다, 개똥쑥이 좋다??
건강정보의 홍수 속에서 내 몸에 필요한 음식을 찾는 방법!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