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6.[Geo-Physical] The Phython 3 (GPR)

3 months ago
33

The first sounding with the Latvian-made GPR, Python 3, took place on July 11, 2017, along the Han River in Seoul, South Korea. The Python 3 was chosen Because it can freely sound in mountainous terrain, has a snake antenna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frequency band, and can see down to 80 m underground.

Above all, the GPR provides the sounder with accurate depth information. This greatly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the EM equipment. However, it is unfortunate that a multilayer media (targets) cannot be distinguished in principle because a CMP sounding is not possible with Python 3.

However, this regret of the dowser can be assuaged by the Geoseeker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hat allows to distinguish multi-layered 'medium' up to 250m underground.

Unfortunately, the dowser, although he has a geoseeker, does not have time to operate it. Moreover, to find a dumb line, one must be able to see at least 500 meters into the underground.

라트비아에서 제작된 GPR 장비인 파이선3의 첫 사운딩은 2017년 7월 11일 대한민국 서울 한강변에서 행해졌다. 산악지형에서도 자유로운 사운딩이 가능하면서도, 주파수 대 별로 탈부착이 가능하면서도, 땅속 깊이 80m까지 볼 수 있는 스네이크Snake안테나를 지닌 파이선3가 우리의 목적에 가장 잘 들어 맞아 선택됐다.

무엇보다도 GPR은 정확한 심도를 사운딩하는 자The Sounder에게 알려준다. 이것은 EM 장비의 단점을 휼륭하게 보완한다. 그러나 파이선3으로는 CMP 사운딩이 불 가능해 다층 매질(타깃)을 원리 상 분별할 수 없어 아쉬웠다.

그러나 이런 아쉬움은 땅속 250m 의 다층 '매질' 을 구분할 수 있게 해 주는 지오시커(전기 비저항 탐사)에 의해 달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 다우저는 비록 지오시커를 가지고 있지만 그러나 그것을 운용할 시간이 없다. 더구나, 덤라인을 발견하려면 그 누구든 적어도 땅속 500m까지를 볼 수 있어야만 한다.

Loading 1 comment...